리먼 브러더스 파산은 세계 기업계의 판도도 바꾸어 놓았다. 외형을 확장하며 승승장구하던 기업들이 쓴 맛을 보는가 하면 특화전략과 공격적인 인수합병(M&A)으로 부지불식간에 점유율을 키운 기업들도 있다.리먼 파산 후 뜬 기업과 진 기업은 각각 누구일까.◆ 美 금융계 지각변동...JP모건 웃고 씨티 울고리먼 파산 후 전 세계 금융계는 지각변동을 겪었다. 한 때 황금기를 구가하던 투자은행(IB)들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미국에서만 80개가 넘는 은행들이 파산했다. 이런 혼란 속 가장 두드러진 패자는 바로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씨티그룹이다. 이들은 리스크가 큰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과도하게 투자하며 금융 위기의 피해자로 전락했다. 리먼 파산 전만해도 미국 금융회사 시가총액 1위였던 씨티는 정부가 지분 34%를 보유하면서 국유화되는 굴욕을 겪었고, BOA도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가장 많은 339억 달러의 확충을 요구받았다. 이에 반해 JP모건의 부상은 무섭다. JP모건은 파산한 워싱턴 뮤추얼과 베어스턴스를 인수하면서 시가 총액 기준 최대 은행으로 발돋움했다. 금융위기 속 공격적인 M&A가 빛을 발한 것이다. 또한 모두가 회피하던 투자은행(IB) 분야에 주력하면서 깜짝 실적을 이뤄내기도 했다. 이밖에 영국 바클레이스도 헐값에 리먼브러더스 북미 사업부를 인수하면서 유럽 최대 은행으로 등극했다. ◆ 한국기업의 약진이 두드러진 자동차업계이번 금융위기로 가장 큰 변화를 겪은 업계는 바로 자동차다. 미국 ‘빅3’ 중 제너럴모터스(GM)와 크라이슬러의 파산 보호를 틈타 세계 자동차시장 질서가 완전히 재편됐기 때문이다. 우선 이번 금융위기의 대표적인 수혜 기업은 다름 아닌 현대기아차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8월 미국 시장점유율이 8%를 기록하며 크라이슬러를 앞지르는 기염을 토했다. 값싼 차라는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위해 고급차 시장을 공략한 전략이 들어 먹힌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현대차의 대형 세단 제네시스가 디트로이트 오토쇼에서 기자들이 뽑은 올해의 차에 선정되기도 했다. 빅3 중 유일하게 파산 보호를 피했던 포드나 포르쉐 인수를 타진 중인 폴크스바겐도 금융위기를 틈타 뜬 기업에 속한다. 반면 리먼 파산으로 세계 1위 자동차업체인 도요타가 받은 충격은 컸다. 2007 회계연도 2조2700억 엔 흑자를 기록한 도요타는 곧바로 2008 회계연도에 4600억 엔 (약 6조원) 적자로 전환됐다. ‘문어발식’ 확장과 무리한 해외 공장 증설 때문이다. GM도 외형 확장에만 치중하다 파산 보호라는 극약 처방을 받았다. 즉, 무분별한 확장 전략이 금융위기에 부메랑으로 돌아온 것이다. ◆ IT, 반도체 업계 최대 수혜자는 삼성 리먼 파산이 서곡을 알린 금융위기는 IT업계의 지형도 바꿔놓았다. 한동안 22%대의 점유율을 유지했던 파워칩, 프로모스, 난여 등의 대만 업체들이 올 2분기 13.8%까지 반토막난 데 비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는 34.1%와 21.7%를 기록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독일의 키몬다도 파산보호에 들어갔고 일본의 엘피다도 엔화 강세로 고전중이라 한국기업의 약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기업의 이 같은 선전은 ‘치킨 게임’으로 불리는 D램 시장의 과잉 설비투자를 극복한 것이라 금융위기에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밖에도 삼성은 LED 장착 고가 휴대전화 등의 특화전략으로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치고 있는 중이다. 이에 삼성과 LG의 휴대폰 세계시장 점유율은 30%를 넘어섰다. 반면 세계 1위 휴대폰 제조업체인 노키아의 추락이 눈에 띤다. 노키아는 터치스크린폰, 소프트웨어, OS(운영체제), 웹브라우저 등 모든 시장에 뛰어들었다가 실패하며 금융위기의 패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김보경 기자 pobo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경제부 김보경 기자 pobo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