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후 사용한 컵 두고 나가는지 관찰"
"기술·지식 보다 태도 중요"
일부 기업의 채용 담당자들이 면접에서 이른바 '커피잔 테스트'를 통해 구직자의 태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경제 전문지 포천은 6일(현지시간) 일부 채용 담당자가 구직자의 태도를 확인하기 위해 면접 과정에서 '커피잔 테스트'를 활용한다고 보도했다. 회계 플랫폼 제노의 전 전무이사를 지냈고 현재 호텔 커머스 플랫폼 사이트마인더의 대표인 트렌트 이네스는 최근 팟캐스트 '더벤처스'에서 이 테스트를 소개했다.
그는 "면접자를 탕비실로 데려가 커피를 마시다 면접장까지 컵을 가져가도록 한 뒤, 면접이 끝날 때 컵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본다"고 밝혔다. 이어 "커피를 블랙으로 마시느냐 설탕을 넣어 마시느냐는 채용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면접을 마친 후 그가 빈 컵을 탕비실로 다시 가져가려고 하는지를 확인한다"고 말했다. 면접장에 사용한 컵을 그대로 두고 가는 사람은 직무에 적합한 인물이라도 채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네스는 "컵을 치우지 않는 행동은 그 사람이 회사 문화에 적합하지 않다는 경고 신호와 같다"라며 "기술은 개발할 수 있고 지식과 경험은 쌓을 수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태도"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사용한 컵이나 머그잔, 유리잔을 탕비실로 가져간다는 건 팀원으로서 사려 깊고, 작은 일에도 신경 쓴다는 걸 보여준다"고 말했다.
아마존, 시스코 등 글로벌 기업 역시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인 앤디 제시는 "훌륭한 태도를 지닌 사람이 얼마나 드문지 알면 놀랄 것이다"라며 "태도가 큰 차이를 만든다"고 말했다.
시스코의 영국 CEO인 사라 워커도 "긍정적인 태도, 참여도, 에너지는 가르칠 수 없다"며 "이러한 특성을 직원을 채용하거나 내부에서 승진시킬 때 주의 깊게 살펴본다"고 했다. 특히 "경력이 짧을수록 이력서에 있는 내용보다 이러한 특성이 더 중요하다"며 "기술이나 경험보다 사람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채용 담당자들은 커피잔 테스트가 채용 과정에서 실질적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글로벌 임원 채용 기관인 벤틀리 루이스의 CEO 루이스 말레는 "(커피잔) 테스트가 정말 가치 있다고 여긴다"며 "이런 작은 행동을 관찰해 면접장에서의 공식적인 질의응답으로는 결코 알아낼 수 없는 그 사람의 특성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면접 대상자가 회사 안내 직원을 대하는 모습을 관찰하는 것도 비슷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지금 뜨는 뉴스
다만 "이 테스트는 채용 과정 중 일부분"이라며 "훌륭한 지원자여도 긴장할 수 있고,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실수할 수 있다. 이를 추구하되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라"고 조언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