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성태 "신고리 5·6호 중단 규탄…'해양 스마트원전' 도입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김성태 "신고리 5·6호 중단 규탄…'해양 스마트원전' 도입해야"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
AD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13일 정부의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결정을 강력 규탄하고, 원전기술 확보 및 안전문제를 고려한 대안으로 '해양 스마트 원전'을 제시했다.

김성태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무회의 20분 만에 결정된 신고리 5·6호기 중단 결정은 분명한 졸속 정책"이라며 "오늘 오후 3시에 열리는 한수원 이사회에서 반드시 중단 취소 결정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지금까지 축적해온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기술력과 인력 유출 또한 걱정"이라면서 "원전기술 포기 결정으로 우리의 인력과 기술력이 고스란히 해외로 유출될 위기에 처해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신고리 5·6호기 중단에 따른 매몰비용 1조6000억원, 관련업체와의 계약해지 위약금 및 부대비용을 더하면 3조원에 달하고, 5만여명에 달하는 사업종사 인력들 또한 일자리를 잃게 됐다"며 "에너지 정책의 근본적 없이 당장 탈원전으로 가겠다는 졸속정책은 반드시 철회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를 촉구하는 한편 신규 원전에 대해선 해양 스마트 원전 기술 도입을 제안했다. 그는 해양 스마트 원전 기술과 관련 ▲원전과 생활권 거리 확보 가능 ▲원전부지 선정 시 지역갈등 최소화 ▲조선·해양산업 및 ICT기술 융합 ▲해양스마트원전 기술 및 상품수출 가능 ▲국내 일자리 창출 및 경제발전 기여 등의 이점을 들었다.


한편 김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원자력발전의 연간발전량은 16만1995GWh로 우리나라 전체 전력생산에 30%에 달한다.


반면 문재인 대통령이 원자력의 대안으로 발표한 신재생 에너지의 경우 4727GWh로 국가 전력량 대비 0.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원자력을 얻는 전력량을 신재생 에너지와 비교하면 그 차이가 34배에 달한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