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새 정부를 맞이한 부동산 시장은 우려만큼 크게 위축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큰 이슈인 부동산 보유세 인상이 당장 이뤄지지 않을 예정인 데다 실수요도 생각보다 탄탄하기 때문이다. 다만 가계대출 억제처럼 규제에 방점이 찍혀 있는 부동산 정책과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세 등은 시장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1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대체로 이번 대선 결과가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선 이후 시장이 급격히 시장이 살아나지는 않겠지만 그렇다고 더 침체하지도 않을 것이란 판단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전문위원은 "가장 큰 이슈는 임대주택과 보유세인데, 특히 보유세 부분의 경우 장기적으로 검토할 사안이라며 한 발 물러선 만큼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며 "임대주택도 단기간 내 급증한다면 어느 정도 시장에 영향을 줄 순 있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를 바꿀 사안은 아니다"고 진단했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도 "대선이 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며 "거래량이나 청약 등에 변화를 줄 요인이 아닌 만큼 현재 시장 그대로 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실수요를 중심으로 지역별 편차는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양 실장은 "실수요자들이 생각보다 탄탄해 시장이 강한 상태"라며 "대신 전반적으로 다 잘되기보다는 실수요자들이 움직일 만한 곳 위주로 편차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실수요가 몰릴 시장으로는 서울 내 출퇴근이 편한 도심과 재개발 기대치가 높은 곳으로 예상된다. 경기권에서는 서울과 맞닿아 있는 남양주ㆍ하남을 비롯해 수원 고등지구와 평택 고덕신도시 등이 유망지역으로 꼽혔다. 지방에서는 세종시의 수혜가 두드러질 전망이다. 새 정부의 공약대로라면 행정자치부와 미래창조과학부가 세종시로 이전하게 되고 국회 분원도 설치될 예정이라서다. 이밖에 총 50조원을 투입할 계획인 '도시재생 뉴딜사업'도 뉴타운 해제 지역을 중심으로 시장 활성화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물론 변수는 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오름세가 실수요자들의 구매 심리 억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 3월 기준 3.21%로 1년 전보다 0.24%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 연속 상승세다. 가계부채 건전성 관리를 위한 집단대출 억제책도 실수요자의 심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고성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기본적으로 부동산 시장 활성화에 대한 공약은 없었지만 가계대출 문제 등을 시장 상황에 맞춰 적절히 조정한다면 급격한 위축은 오지는 않을 것"이라며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이 잘 진행된다면 부정적인 영향도 최소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민규 기자 yush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