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등 7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등 7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보물 제1929호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사진=문화재청 제공]
AD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문화재청은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등 일곱 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

보물 제1929호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은 진재(眞宰) 김윤겸(1711~1775)이 영남지역 명승지를 유람하고 그린 열네 장의 화첩이다. 18세기 후반 대표적인 경상도 지역 진경산수화로, 김윤겸이 1770년(영조 46) 소촌 찰방에 임용될 당시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 선비들의 여행과 시문서화(詩·文·書·畵) 예술의 창작 상황을 잘 보여주며 과감한 생략과 단순한 표현으로 독자적인 회화 세계를 잘 드러낸다.


보물 제1930호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은 퇴화(堆花·도자기 몸에 물감을 두껍게 올려 무늬를 만드는 기법)법으로 초화문을 베푼 주전자와 승반(밑받침 접시)이다. 주전자와 승반이 한 묶음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치가 높고, 세련된 퇴화 기법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보물 제1931호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는 죽순을 형상화한 것으로, 조형과 장식, 그리고 유색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최상급의 상형청자로 평가받는다. 특히 기형의 독창성과 우아한 형태미, 빙렬(氷裂·표면에 가느다란 금이 간 상태)이 거의 없는 무결점의 표면을 자랑한다.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등 7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사진 왼쪽부터 시계방향) 보물 제1931호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 보물 제1932호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 보물 제1933호 경주 불국사 삼장보살도 [사진=문화재청 제공]



보물 제1932호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는 상형과 투각(透刻)의 기법이 어우러졌으며 특히, 푸른빛의 유색이 아름답다. 청자 붓꽂이는 남아 있는 예가 매우 드물다. 남아 있는 것들은 대부분 묵호·연적 등 문방구들과 더불어 고급품이 많다.


보물 제1933호 ‘경주 불국사 삼장보살도’는 1739년 경북지역에서 활동하던 화승들이 경주 거동사 오주암에서 제작해 불영사에 봉안하였다는 분명한 화기를 남기고 있어 18세기 전반기 삼장보살도 도상 및 화풍연구에 중요한 자료다.


보물 제1934호 ‘곡성 도림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도림사 보광전의 후불화로 봉안된 것으로 1730년 철매의 증명 아래 수화원 승려들이 제작한 것이다. 18세기 전반기 화풍과 교류를 통한 전승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물 제767-4호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는 중국 원나라 고승인 몽산화상 덕이(德異, 1231~?)의 법어를 간략하게 줄여 쓴 서책이다. 조선 초기의 승려 신미(信眉)가 토를 달고 우리말로 번역했다.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