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지자체 지진 전담인력 102명 보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행정자치부, 조직확충안 발표

정부·지자체 지진 전담인력 102명 보강 행정자치부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정부, 지자체의 지진 전담 인력·부서가 크게 늘어난다.


28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진 방재·관측·경보 총괄·연구 기능을 강화하는 등 지진 전담 인력 102명을 보강할 계획이다.

중앙행정기관은 17개 부처 4과·연구실 1팀에서 45명을 늘린다. 안전처는 지진 방재 콘트롤타워로서 재난관리실에 '지진방재관리과',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 '지진대책연구실'을 신설하고 총 12명을 증원한다.


지금의 지진방재과는 정책·예방과 대응 기능이 섞여 정작 지진이 일어났을 때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지진종합대책과 활성단층 조사는 지진방재정책과에서, 상황관리·훈련·교육 등은 '지진방재관리과'에서 맡는다.

기상청은 지진 관측·경보·연구를 강화하고자 차장 직속으로 '지진화산센터'를 독립·확대 개편하고 전문인력 7명을 늘린다.


개편된 지진화산센터에는 안전처에서 넘겨받은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지진 관측망, 조기경보시스템 업무를 맡는 '지진정보기술팀'을 신설한다. 대규모 지진과 지진해일을 사전에 예측해 대비하도록 '지진화산연구과'도 만든다.


또 지방기상관서 9곳에 지진정보관을 각 1명씩 배치해 지자체와 주민 등에 지진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컨설팅 등을 하게 한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문화재청을 비롯해 교육부·미래부·산업부·국토부 등 관련 부처 13곳도 소관 시설물의 내진 대책과 안전점검 등을 위해 전담 인력을 둔다.


지자체도 16개 시·도와 24개 시·군·구에서 전문인력 57명을 확충한다.


시·도는 재난안전실·국과 연계해 지진 재난 대응·복구 기능을 보강하고, 공공시설물 안전관리·점검 강화를 위해 1명씩 증원한다.


24개 시·군·구도 9월 지진 피해를 수습·복구하고, 원전 인근 지역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1명씩 전담 인력을 늘린다.


특히 경주·기장·울주·울진 등 원전이 있는 4개 시·군은 원전 방재 및 안전관리 전담 부서를 설치·운영토록 하고, 각 4∼5명씩 추가 지원한다.


이 밖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시설안전공단 등 공공기관은 관계 부처와 협조해 전문인력을 보강토록 한다.


이번에 보강되는 인력 가운데 중앙부처는 올해 내에 해당 부처 직제를 개정해 반영한다. 지자체는 내년 기준 인건비에 반영해 내년 상반기 중 배치할 계획이다.


앞서 행자부는 9.12 경주 지진 후 대책 마련 차원에서 중앙 부처 및 자치단체의 업무 실태를 분석해 업무 수행체계 전반을 분석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