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창업·중소기업 공공조달시장 진입 문턱 낮아진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행정자치부, 지방계약법 시행규칙 개정해 29일 시행...입찰 자격 완화해 시장 진입 가능, 지연배상금 절반으로 낮춰

창업·중소기업 공공조달시장 진입 문턱 낮아진다 행정자치부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앞으로 창업·중소기업의 지자체 발주 물품·용역 입찰 참여가 더 확대될 전망이다. 입찰 참여 실적 기준이 완화되고, 계약 의무 이행 지연에 따른 배상금 규모도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오는 29일부터 제한입찰 시 실적에 따른 참가자격 완화, 지연배상금 감경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방계약법 시행규칙'을 공포·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종전까지는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발주 시 발주물량과 동일한 실적을 갖춘 업체에 한해서만 입찰 자격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납품 실적이 부족한 창업 및 중소기업의 경우 공공조달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웠다.

이번 시행 규칙 개정으로, 앞으로는 지자체가 해당 발주물량의 3분의 1 이내 범위로 자격 요건을 대폭 완화된다. 예컨대 친환경페인트 300개 제조·구매 발주 시 그동안에는 종전 300개 이상 납품 실적이 있는 업체만 입찰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100개 이상 납품 실적 보유 업체도 입찰에 응할 수 있게 됐다.


지연배상금도 종전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지자체와 계약 체결 뒤 계약상대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계약상의 의무 이행을 지체할 경우 지연배상금을 부과하는데 지체일수 1일당 대금의 1000분의1(0.1%)로 계산돼 왔다. 연이자율 환산 시 36.5%에 해당하는 큰 금액이다.


반면 대가지급 지연이자는 지자체 지정 금고의 대출 시 연체이자율 평균 10%에 그친다. 외국도 연이자율로 환산했을 때 일본 2.8%, 프랑스 12.2%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자부는 지자체들이 업체에 매기는 지연배상금률을 현행 공사대금 1000분의1에서 1000분의 0.5로 절반으로 줄이도록 했다. 이렇게 되면 연간 이자율 환산 18.3%이 된다.


김현기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세제실장은 “이번 지방계약제도 개선으로 납품실적이 부족한 창업·중소기업에게 공공조달시장 진입기회를 확대해 주는 기회를 마련하게 된다"며 "지연배상금률을 종전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하여 업체의 부담을 절감시켜 획기적인 규제혁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