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경필 기자]
“위안부, 강제징용 등 아픈 역사를 그리겠다”
“4·3사건, 위안부 피해자, 원폭 피해자 등 우리의 아픈 역사를 조금 다른 시각으로 그려서 세계인들에게 알리고 싶습니다”
한국보다 프랑스에서 더 유명한 만화가이자, 한국 만화 100권 이상을 번역해 프랑스에서 출간한 김금숙(45) 작가.
제주 4·3사건을 다룬 만화 ‘지슬’을 펴내고 제주, 부산, 서울에 이어 지난 29일부터 내달1일까지 전남 순천에서 원작전시회를 열고 있는 김 작가의 작은 소망이다.
김 작가는 1971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나 세종대 회화과를 거쳐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고등장식미술학교를 졸업했다. 프랑스에서는 조각가 활동을 하다가 만화가로 변신, 주목받는 작품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2014년에는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에서 위안부 할머니들의 역사적 진실을 알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한국만화기획-지지않는 꽃’ 전시회에 위안부 피해자의 아픔을 그린 단편 ‘비밀’을 발표해 뜨거운 반향을 이끌어 냈다.
김 작가는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이자 7,80년대 산업화에 따른 도시이주민들의 아픔을 그린 ‘아버지의 노래’로 몽벨리에 만화페스티벌 NMK에서 ‘문화계 저널리스트들이 뽑은 언론상’을 수상했고, 지난 8월에는 위안부 피해자 이야기를 그린 만화 ‘미자언니’로 ‘제14회 대한민국 창작만화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를 그린 ‘아버지의 노래’, 개구쟁이 시골 소녀 이야기 ‘꼬깽이’, ‘판소리 춘향가’, ‘판소리 심청가’ 등이 있다.
지난 29일 순천 전시회 개막식에 참석한 김 작가를 만나 얘기를 들어봤다.
다음은 일문일답.
▲세종대 회화과를 졸업했는데 프랑스에서는 조각가를 거쳐 만화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렇게 장르를 바꾸게 된 계기는?
-프랑스에서 조각가로서 설치전 등 활발한 활동을 해왔는데, 경제적으로 계속 활동해 나가기가 힘들었다.
가난한 예술가에게 창작을 계속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고민하다가 종이와 연필로 할 수 있는 만화를 택했다. 종이와 연필은 저렴하고 검소한 재료로서 어디서나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화라는 매체를 통해 우리 인간의 삶을 이야기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프랑스에서 한국 만화를 100권이상 불어로 번역해 출간했는데 주로 어떤 만화였는가?
-소년만화, 순정만화, 학원만화 등 다 출간했다. 그 중에서 이희재 작가와 오세훈 작가의 만화를 좋아했다.
80년대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리얼리즘의 대표작들이라고 할 수 있는 이희재 작가의 ‘간판스타’, 오세훈 작가의 ‘부자의 그림일기’ 등을 번역하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현실적인 이야기를 그린 것에 감동을 받았다.
▲작품 중에 판소리 ‘춘향가’와 ‘심청가’도 있는데
-아버지께서 동네 소리꾼이셨다. 특히 상여소리를 잘 하셨다. 그 영향으로 우리 소리를 좋아해서 작품을 그리게 됐다.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를 그린 ‘아버지의 노래’는 어떤 작품인가
-우리 가족 이야기이다. 70년대는 많은 사람들이 잘 살아보려고 서울로 이주했다. 우리 가족도 고흥에서 살다가 서울로 이주를 했는데, 서울 가면 당연히 여유 있고 잘 살게 될 거라고 생각을 했다.
아버지는 시골에서는 농사도 짓고 소리도 즐기시던 분이셨다. 그런데 바쁜 도시생활 속에서는 각박한 삶 속에 갇혀 그런 여유를 잃어버리고 즐기시던 소리를 전혀 할 수가 없었다. 그만큼 도시의 삶이 척박했던 것이다.
그래서 자전적인 이야기이지만 한 가족을 통해 한국 사회의 7, 80년대를 반추해볼 수 있는 그런 이야기를 그려낸 작품이다.
▲지난 8월에 대한민국창작만화공모전에서 ‘미자언니’란 작품으로 최우수상을 받았다. ‘미자언니’는 어떤 내용인가?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오래 전부터 준비를 했는데, 그 분들의 증언을 듣고 만들었다.
▲위안부 피해자 이야기를 다룬 ‘미자언니’와 단편 ‘비밀’, 이번에 제주 4·3사건을 다룬 ‘지슬’까지 계속 아픈 우리 역사를 소재로 작품을 내놓고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일부러 목표를 정해서 시작한 일은 아니었다. 하지만 10년 전부터 이 역사소재에 대한 관심이 있었고 주변에서도 이 아픈 역사에 대한 자료들을 자주 접했다.
이런 아픈 역사를 다루기 위해서는 공부도 많이 해야 하고 고민도 더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쉽게 함부로 시작할 수 없는 작업이었다.
그렇지만, 그동안 내가 이야기 하고자 하는 작품들이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과 다른 시각으로 이야기를 하고 싶어 시작했다.
▲앞으로 계획은
-위안부 피해자의 이야기를 다룬 장편 2권 분량을 하고 있는데 1권은 끝냈고, 2권을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강제징용으로 끌려간 원폭피해자의 이야기를 그림책으로 냈다. 또 우연히 일본에 계신 원폭피해자 2세를 만났는데, 그분의 부모에 대한 이야기도 앞으로 그리게 될 것 같다.
최경필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