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무분별한 신상정보 노출…'빅데이터' 최강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3초

아무 생각 없이 신용카드ㆍ은행계좌 번호 노출…中 관련 데이터 80% 정부 수중에

中 무분별한 신상정보 노출…'빅데이터' 최강국? 중국에서는 대출 받는 조건으로 고리대금업자에게 자기 나체 사진을 제공하는 이른바 '뤄다이(裸貸)'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사진=웨이보).
AD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 중국의 소비자들이 저리 대출을 받기 위해 자기 신상정보까지 마구 노출시켜 사회문제로 비화하고 있다.

중국 본토에서 온라인 대출업에 나선 홍콩 소재 위랩은 소비자가 어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내려 받는지, 즐겨 찾는 곳이 어디인지, 어떤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이용하는지, 학교 성적은 어떤지 추적한다.


신용등급 산정에 도움이 되는 신상정보가 제공될 때마다 위랩은 고객에게 금리를 깎아준다. 홍콩에서는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위랩에 접속할 경우 대출비용의 5%, 링크트인 계정을 통해 접속할 경우 10%가 낮아진다. 아니면 무려 20%의 이자를 물어야 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 소재 벤처캐피털 업체 GGV캐피털의 상하이(上海) 주재 리훙웨이(李宏瑋) 대표 파트너는 최근 블룸버그통신과 가진 전화통화에서 "중국인들의 경우 아무 생각 없이 자기 신상정보, 신용카드 번호, 은행 계좌번호를 노출시킨다"며 "인터넷에서 나도는 신상정보로 고객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GGV는 중국의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阿里巴巴)그룹 등 소비자 데이터를 간절히 필요로 하는 기업들에 투자해왔다.


中 무분별한 신상정보 노출…'빅데이터' 최강국?


소비자의 신상정보 노출이 도를 넘는 경우가 심심찮게 발생한다. 중국에서 대출 받는 조건으로 고리대금업자에게 자기 나체 사진을 제공하는 이른바 '뤄다이(裸貸)'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을 정도다.


인민일보 인터넷판 등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급전이 필요하나 담보가 없는 대학생들 가운데 자기 나체 사진을 담보로 고리대금업자에게서 소액 대출 받는 일이 성행하고 있다.


나체 사진은 신분증과 함께 찍어야 하고 주소, 휴대전화 번호 같은 가족의 정보까지 대출업자에게 알려줘야 한다. 기일 안에 돈을 갚지 못하면 나체 사진이 가족ㆍ지인에게 공개된다. 이들은 대개 1만5000위안(약 260만원)을 빌려 최장 36개월 할부로 갚는다. 명문대나 박사과정 학생일 경우 대출금 한도가 높아진다.


한 여대생은 지난 2월 창업 자금을 빌렸다. 이자는 1주 30%였다. 그러나 상환 기한을 놓쳐 같은 업체에서 동일 이자로 거푸 대출 받아 막다 보니 빚은 5만5000위안으로 불었다. 대출업자로부터 나체 사진을 공개해버리겠다는 협박이 잇따른 것은 물론이다.


중국 대학가에서 인터넷 고리대금업 성행으로 피해자들이 증가한 것은 2009년 7월 은행업감독관리위원회가 만 18세 미만에 대해 신용카드 발급을 금하면서부터다.


인터넷 대부업체는 대학 1~2년생에게 신분증ㆍ학생증 외의 다른 담보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들 업체는 광고에서 저금리 혹은 무이자를 약속해놓고 관리비ㆍ거래비 같은 각종 명목으로 청구한다.


위랩의 룽페이즈(龍沛智) 최고경영자(CEO)는 휴대전화 이용자들에 대한 신용평가와 관련해 "과거 행적을 기준으로 한 평가"라며 "현재 고객 신상정보 공유는 고객의 자의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中 무분별한 신상정보 노출…'빅데이터' 최강국?


상하이 소재 온라인 대부업체 신얼푸(信而富)는 인터넷 기업 텐센트(騰迅)에서 취합한 데이터를 활용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SNS 친구 수, 휴대전화 보유 기간, 모바일 쇼핑ㆍ게임 취향 등 텐센트에서 끌어모은 잠재 고객 수천만명의 데이터로 이들의 신용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중국에서 취합되는 데이터의 범위와 깊이는 놀라울 정도다. 개인 신상정보 공유를 둘러싼 문화적ㆍ법적 걸림돌이 적기 때문이다.


중국의 목표는 디지털 데이터 발굴에서 세계 최강이 되는 것이다. 중국의 강점은 인구 13억을 보유한데다 이들이 감시 및 개인 신상정보 취합에 익숙해져 있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마오쩌둥(毛澤東) 시대 이래 거의 모든 인민에 대한 '당안'을 기록ㆍ관리해왔다. 당안이란 중국인의 개별 인사 기록물이다.


내용은 개인의 가정 성분(가정의 정치적 배경), 출신 계급, 학교 성적, 당ㆍ직장 경력, 결혼 여부, 언동, 전과 여부 등 모든 개인 정보로 이뤄져 있다. 이에 따라 개인의 승진이나 도시 거주 허락 여부가 결정되기도 한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정부가 현지 정보기술(IT) 업체들에 당안 등 인민의 신상 데이터 활용을 허가할 듯하다고 최근 보도했다.


리커창(李克强) 국무원 총리는 지난 5월 구이저우(貴州)성 구이양(貴陽)의 '빅데이터엑스포(數博會)'에서 "중국 관련 데이터 가운데 80%가 정부 수중에 있다"며 "국가 안보, 기업 기밀 및 사생활과 연관된 게 아니라면 대중은 모든 출처ㆍ자료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발언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린녠슈(林念修) 부주임은 "오는 2020년 글로벌 데이터 가공ㆍ저장 과정 중 20% 이상이 중국에서 이뤄질 것"이라며 "그때쯤 중국은 세계 최대 데이터 출처이자 글로벌 데이터 센터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장담했다.


이진수 기자 commu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