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古代문헌 '개똥쑥'서 영감 얻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자연의 풀에서 말라리아 치료제 개발…중국 첫 과학분야 노벨의학상 투유유

전통ㆍ현대의학 결합 기생충 박멸
日 스키선수 출신 오무라 교수
아일랜드 태생 美 캠벨과 공동수상


古代문헌 '개똥쑥'서 영감 얻었다  
AD

[아시아경제 장인서 기자] 각종 미생물로부터 기생충 번식을 억제하는 약제의 원료들을 발견해내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생명을 보전하는 데 기여한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들이 그들의 공로와 더불어 독특한 이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중국 전통 약초 서적을 연구해 '개똥쑥'으로 불리는 풀에서 말라리아 치료제 성분을 찾아낸 투유유 중국 중의과학원 명예교수(85)와 기생충 치료 약물 개발에 기여한 일본의 오무라 사토시 일본 기타자토대학 명예교수(80), 아일랜드 출신의 윌리엄 캠벨 미국 드루대학 교수(85) 등 3명의 기생충 연구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5일 '2015 노벨 의학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올해 수상자들은 가장 파괴적인 기생충 관련 질병의 치료법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매년 수백만 명에게 영향을 끼치는 질병에 맞설 새롭고 강력한 수단을 인류에게 제공했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

투 교수는 중국 국적으로는 최초로 과학 분야 노벨상을 수상한 인물이 됐다. 또 중국의 첫 여성 노벨상 수상자라는 영예도 동시에 안았다. 그의 이름 유유는 '사슴이 울며 들판의 풀을 뜯는다'는 시경(詩經)의 구절에서 따온 것인데 이름처럼 자연의 풀에서 신약 성분을 추출해 노벨상까지 거머쥐었다.


투 교수는 1955년 중국 베이징의대 약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부터 우리나라의 한의학연구원과 같은 중의과학원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투 교수는 중의학 관련 문헌을 연구해 개똥쑥에서 말라리아 치료제인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을 개발했으며 이 공로로 '예비 노벨생리의학상'이라고 불리는 래스커상 임상연구 분야에서 2011년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투 교수가 발명한 아르테미시닌을 기초로 하는 약물은 말라리아 표준 치료방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투 교수는 "1600년 전 고대 의학서가 영감을 줬다"며 "아르테미시닌은 현대 과학과 전통 의학이 결합한 성과물"이라고 말했다.


오무라 교수와 캠벨 교수는 1979년 항(抗)기생물질인 '아버멕틴(Avermectin)'이라는 기생충 약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아버멕틴은 사상충증(강에 사는 일부 파리의 기생충을 통해 감염되는 열대 피부병)을 비롯해 기타 회충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에 효과가 있다.


오무라 교수는 이날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본은 미생물을 잘 다뤄온 역사가 있다"며 일본 내 연구 기반에 대한 자부심을 내비치기도 했다.


오무라 교수는 연구자의 길에 접어들기 전 스키 선수로 활약하고, 야간 고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했다.


축구, 탁구 등 스포츠를 좋아한 오무라는 고교 2학년 때부터 스키에 열중해 크로스컨트리 선수로 전국체전에 두 차례 출전할 정도의 실력을 쌓았다. 하루 고작 3시간만 자면서 공부와 스키를 병행한 그는 야마나시대 자연과학과에 진학한 뒤 1학년 때 스키 명조련사 밑에서 강도 높은 훈련을 받았다. 그 시절 '체력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고된 환경에 몸을 던지고, 남 흉내를 내지 말 것' 등 인생의 중요한 교훈을 얻었다.


대학 졸업 후에는 연구자의 길 대신 도쿄의 스미다 공업고등학교 야간부에서 교편을 잡는 것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이때 온몸에 기름칠을 한 채 주경야독하는 학생들을 지켜본 것이 다시 공부를 시작하는 전환점이 됐다. 그는 결국 도쿄교육대 연구생을 거쳐 1960년 도쿄이과대 대학원 석사 과정에 입학, 연구자로서 첫발을 내디뎠다. 오무라 교수의 노벨상 수상으로 일본의 역대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는 20명이 됐다.


캠벨 교수는 아일랜드에서 태어나 더블린대를 졸업하고 1957년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대에서 기생충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세계적인 제약회사인 머크 연구소를 거쳐 1990년부터 2010년까지 드루대 교수로 재직했다.




장인서 기자 en130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