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월200 못버는 변호사?…저무는 전문직 전성시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1초

월200 못버는 변호사?…저무는 전문직 전성시대 한 때 사법시험 준비생이 5만여명에 이를 정도로 북적였던 관악구 신림동 일대 고시촌 일대가 로스쿨 도입 이후 수험생들이 빠져나가면서 크게 위축됐다.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이현우 기자] #1. 지난 4월 서울시의 한의사 채용 공고는 경쟁률이 무려 36대 1을 기록했다. 연봉 5000만원(계약직 나급ㆍ6급 상당)도 채 안 되는 자리인데도 지원자들이 몰렸다. 면접위원으로 온 한 한의사단체 회장은 서울시 측에 "한의사들의 형편이 많이 어렵다. 다른 공공기관에서도 많이 채용해 줬으면 좋겠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2. 지난해 변호사 자격증을 딴 서울 중위권대학 로스쿨 졸업생 A(45)씨는 1년째 실직자 신세다. A씨의 로스쿨 졸업 동기들 중 60%가 비슷한 처지다. 예전처럼 부와 명예를 동시에 얻겠다는 생각은 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안정적인 일자리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겠다는 기대마저 허물어지고 있다. 구직 기간이 길어지면서 주변의 기대도 실망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A씨는 차라리 다니던 직장을 계속 다니는 게 더 나았을 것이라고 후회를 하고 있다.


변호사, 의사, 한의사, 공인회계사 등 전문자격증을 가진 이른바 '사(士 또는 師)자 직업'들의 전성시대가 저물어 가고 있다. 그동안 자격증을 따기만 해도 부와 명예를 보장해 줘 '계층 이동의 사다리' 역할을 해 왔지만, 요즘은 살아남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이들 전문직들의 공통점은 내부 경쟁이 치열해져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다는 것이다. 의사의 경우 대한의사협회에 따르면, 2002년 인구 10만명당 164명이던 의사 수가 2012년에는 28% 증가한 210명으로 나타났다. 의사 1인당 인구 수도 611명에서 457명으로 22.3% 감소했다. 반면 매년 신규 의사 수는 3000명에 이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증가율인 1.6%보다 훨씬 높다(5%).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불경기와 더불어 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의사들의 개인별 수입은 감소하고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한의사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00년 8845명이던 한의사가 2011년 1만6038명으로 10년 새 81%나 늘어났다. 해마다 850명의 신규 인력이 배출되고 있다. 시장 경쟁이 격화될 수밖에 없다. 대한한의사협회 관계자는 "자격증 획득 후에 97.3%가 개원하는데 건물 임대료 등 비용 증가로 어려움이 크다"고 호소했다.


변호사들의 경우도 나을 게 없다. 지난해 로스쿨 출신 1기 변호사들의 취업률은 60%대에 불과하다. 충남대(31.3%), 강원대(38.7%) 등 몇몇 로스쿨은 30%대에 그치고 있다. 이미 개업한 변호사들도 극심한 양극화에 시달리고 있다.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변호사의 16.1%가 연 소득 2400만원 이하를 신고해 월 200만원도 벌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예전보다 훨씬 낮은 직급으로 공직 채용에 응하는 변호사들이 수두룩하다. 지난해 부산시, 인천시 등이 연봉 3000만원 정도 밖에 안 되는 7급 공무원으로 변호사들을 공개 채용했지만 치열한 경쟁률을 기록했다.


한때 잘 나가던 '공인회계사'도 이젠 어렵사리 딴 자격증을 그냥 놀리는 경우가 많다. 한국공인회계사회에 따르면 2013년 1월31일 현재 1만5767명의 등록회원 중 30%가량인 5089명이 휴업 중이다.


이렇다 보니 고시에 대한 인기도 시들해져 수험생들로 북적거리던 서울 신림동 고시촌이 '공동화'되고 있다. 2009년 5만명이던 고시촌 '입주자' 수는 올해 2만5000여명으로 줄어들었다. 전국고시원협회 관계자는 "신림동 고시촌 경기는 거의 죽은 것이나 다름없다. 고시원, 학원, 식당 등 고시생을 상대로 장사하던 지역 상권이 모두 가라앉았다. 고시원의 절반이 비어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린 의견을 내놓고 있다. 박병영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실장은 "해당 직업들의 계층 이동 사다리 역할이 약화되는 것은 사회 전체적으로 좋지 않은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여유진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특정 직업이 과도하게 우대받고 계층 상승의 도구가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진입장벽이 사라지고 청소부에서 교수까지 직업이 평등하게 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
이현우 기자 knos8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