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정차관 "北 핵실험 영향 제한적···학습효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등 향후 행동에 따라 부담될수도
"금융시장 불안 시 시장안정조치 추진"


재정차관 "北 핵실험 영향 제한적···학습효과"
AD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정부는 북한의 3차 핵실험이 한국경제와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 제한적일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북한리스크에 대한 학습효과로 인해 유사한 규모의 도발에는 시장이 더 이상 동요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다만 국제사회의 대응지침에 따라 북한의 추가도발 가능성이 있어 향후 시장상황을 면밀히 살펴보기로 했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1차관은 13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긴급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북한 핵실험으로 인한 경제적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 날 회의는 금융시장 개장에 앞서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이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하게 열렸다. 기획재정부를 비롯해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과 국제금융시장을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는 국제금융센터가 참석했다.

신 차관은 "어제 국내금융시장은 북한의 핵실험이후 주가가 소폭 하락했으나 외국인 주식자금이 유입되고 원화강세를 보이는 등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수의 금융전문가 역시 이번 핵실험은 북한악재에 대한 학습효과로 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해외시장에서도 한국물은 큰 동요가 없었다. 지난 12일 한국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68bp로 오히려 전달보다 1bp 떨어졌고 역외환율도 전일 종가대비 3.80원이 하락했다.


우리나라의 국제신용등급도 크게 영향받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신 차관은 "1·2차 핵실험, 김정일 사망, 미사일 발사 등 과거 북한 관련 이벤트에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는 변화가 없었다"며 "단기간의 지정학적 리스크에 영향을 받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다만 신 차관은 국제사회의 제재확대와 그에 따른 북한의 반발 등으로 인해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질 경우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향후 진행흐름에 따라 우리경제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여전한 상황인 것이다.


신 차관은 "유엔이 긴급 안전보장이사회를 열어 북한의 핵실험을 강력히 규탄하고 새로운 제재가 포함되는 결의안 마련 논의에 착수하기로 한 만큼 향후 시장상황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북한의 상황전개와 국내외 시장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겠다"고 밝혔다.


일단 '관계기관 합동 점검 대책팀'을 재가동해 북한관련 대내외 동향, 경제전반의 상황을 매일 점검하기로 했으며 국내외 금융기관, 전문가 등과 핫라인을 가동하기로 했다. 또 대외교역과 원자재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코트라, 무역협회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수출입동향, 바이어·투자자 동향을 점검하고 미국, 일본, 중국 등 관련국가뿐 아니라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와도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신 차관은 "기존에 마련된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을 재점검하고 필요시 시장안정 방안을 즉각적으로 시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김혜민 기자 hmee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