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양에 있는 몰디브와 남태평양에 있는 투발루. 지구에서 가장 면적이 작고 인구가 적은 두 나라는 산호 위에 자리잡고 있다. 이 두 나라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속에 잠길 위기에 있다. 투발루는 2002년 미국과 호주를 무분별한 온실가스 발생국으로 국제사법재판소에 고소하려고 했다.
기후변화는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2000년대 들어 한국의 기온은 1970년대에 비해 섭씨 0.7도 상승했고 강수량은 144㎜ 늘었으며 일조 시간은 256시간 감소했다. 한파와 폭설, 이상저온, 집중호우, 태풍 등에 의한 기상재해도 증가하고 있다. 2010년 12월 말부터 지난해 1월 말까지 한파가 39일간 지속됐으며 지난해 7월의 집중호우, 9월의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한 폭염 등 이상기후가 다양하게 발생했다.
지난해 12월에 발표된 2011년 이상기후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을 경우 우리나라는 2050년까지 기온이 3.2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구 평균온도 상승(2.3도)보다 39% 높다. 강수량은 16% 증가하고 해수면도 27㎝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폭염은 현재보다 약 3배, 열대야는 6배 정도 발생이 늘고 하루 강수량이 80㎜ 이상인 호우 발생 일수도 60% 이상 증가하며 수도권과 강원 영동 지방은 호우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농업은 산업 특성상 기후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1~2월 한파로 시설하우스 작물 196㏊와 녹차 2452㏊에 피해가 있었고, 2010년 12월부터 이듬해 2월 사이의 폭설로 비닐하우스, 축산시설 등에서 545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지난해 1~4월의 이상 저온으로 과수 재배면적의 11.7%, 밀 재배면적의 65%에서 피해가 생겼다.
지난해 7월의 집중호우로 5만2188㏊의 농작물 침수와 가축 38만마리가 피해를 입었다. 2011년 8월의 태풍 무이파에 따른 농작물과 시설 피해는 약 3만㏊에서 발생했고 닭ㆍ오리 등 69만마리가 폐사했다. 2011년의 폭설에 의한 농업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704억원, 한파 및 냉해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569억원, 집중호우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3090억원이 필요했다.
환경부의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경제학적 분석(Ⅱ)' 보고서는 기후변화 대책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 우리나라의 누적 피해 비용은 2100년까지 28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300조원의 기후변화 적응 정책을 실행할 경우 누적 피해액을 800조원 이상 감소시켜 500조원의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농업의 피해는 기후변화에 의한 쌀 생산량 감소로 쌀의 총 이윤이 2020년 824억원, 2050년 2964억원, 2100년 6135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적응하려는 노력을 할 경우 2020년 678억원, 2050년 2059억원, 2100년 4405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 노력을 할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에 비해 2020년 1502억원, 2050년 5023억원, 2100년 1조540억원의 이익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농업 부문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적절한 적응 조치는 농업의 꾸준한 이윤 증가로 이어진다.
농림수산식품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들을 농업 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기후변화 적응 부분을 강화한 '기후변화 대응 세부 추진계획(2011~2020)'을 지난해 12월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기후변화를 농정의 주요 농정 지표로 관리하며, 재해를 예방하고 농업 생산력을 높이며, 온실가스 흡수원을 개발하고 온실가스 배출원을 관리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농촌진흥청은 기후변화 대응 연구에 집중 투자해 기술을 개발ㆍ보급해 미래를 준비하고 2010년도 수준 이상의 농업 생산력을 유지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박규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연구사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