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국내 연구진이 기존 조영제보다 효과가 우수한 조영제를 개발하며 차세대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서울대학교 현택환 중견석좌교수 연구팀과 서울대학교 문우경 교수, 박경수 교수 연구팀이 강자성 산화철 나노입자를 이용한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정밀영상화와 이식된 췌도 세포의 장기간 영상화’에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실시간으로 인체 내부를 영상화하는 MRI는 수술 없이 해부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MRI조영제는 MRI에서 보다 더 명확한 영상을 얻게 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관찰하기 힘든 분자 수준의 생명현상까지 영상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지금까지는 MRI 조영제로 생체 적합성이 높은 산화철 나노입자를 사용해왔으나 더 높은 조영효과를 얻기 위해 기존보다 자기적 성질이 우수한 나노입자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현 교수팀은 기존 산화철 나노입자에 비해 3배 이상 조영효과가 뛰어난 강자성 산화철 나노입자(FION)를 합성해 특허 출원하는 성과를 올렸다. FION는 체내에서 독성을 가지는 망간이나 코발트 이온 등이 포함되지 않으며 최근 발표된 T2조영제에 비해 나노입자 한 개당 조영효과가 훨씬 우수하다.
현 교수팀은 쥐와 돼지 동물실험을 통해 FION 조영제를 이용해 MRI 영상에서 단일 세포까지 영상화할 수 있고, 이식된 췌도 기능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현 교수는 "FION은 줄기세포나 췌도 등에 다양한 세포표지(이식된 세포를 MRI로 관찰할 수 있도록 조영제를 세포에 주입하는 기술)을 할 수 있으며, 단일 세포 수준까지 정밀하게 영상화할 수 있어 세포치료를 임상에 적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MRI가 활용될 수 있는 폭을 높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권위지 '미국립과학원 회보' 온라인에 1월 31일자로 게재됐다.
김수진 기자 sj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