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바이오헬스 '제2반도체'로 육성…"규제 풀고 R&D 확대"(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복지부·산업부·과기부·기재부·식약처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 개최

바이오헬스 '제2반도체'로 육성…"규제 풀고 R&D 확대"(종합)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을 비롯한 제약바이오 기업 대표들이 15일 서울 서초구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에 참석해 사진촬영 하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해 규제를 풀고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한다.


보건복지부·기획재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식품의약품안전처는 15일 서울 서초구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공동간담회'를 개최하고, 관계부처가 협력해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바이오헬스산업을 미래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발전시키기 위해 관계부처 장관들이 직접 현장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바이오헬스 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촉진자 역할을 하고 국민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더욱 노력하겠다"면서 "전문인력 양성, 백신 자주화,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 등을 위한 정책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5개 부처 장관·처장 등 현장 목소리 청취= 바이오헬스 중점 육성 방안 모색 바이오헬스는 성장·일자리·국민건강의 삼중(三重) 유망 신산업으로 전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와 건강수요 증가로 세계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 4월 정부는 비메모리, 바이오, 미래형 자동차 등 3대 분야를 중점 육성해 세계시장 선도 기업 및 산업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정부는 2017년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017~2026년)',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5개년 종합계획(2018~2022년)'을 수립했고, 지난해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 '혁신성장 확산을 위한 의료기기 분야 규제혁신 및 산업육성 방안',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 등의 대책을 내놨다.


벤처캐피탈의 바이오헬스 분야 투자는 2017년 3788억원에서 지난해 8417억원으로 122% 증가했으며, 국내 제약기업은 2016년 이후 33개 신약 후보물질을 기술 수출해 약 10조 원의 수익을 창출했다. 제약·의료기기 등 제조업과 보건의료서비스 분야에서 최근 5년간 17만 개의 일자리가 증가하는 등 고용 기여도가 높아지고 있다.


업계는 바이오헬스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전후방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해외시장 개척 등 산업 생태계 기반(인프라)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또 임상시험 및 인허가 기간 단축, 의료데이터 활용 등 규제개선과 제약바이오 수출 지원 등을 요구했다.


바이오헬스 '제2반도체'로 육성…"규제 풀고 R&D 확대"(종합) 박능후(왼쪽 두 번째) 보건복지부 장관과 유영민(왼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5일 서울 서초구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에 참석해 서정진(오른쪽) 셀트리온 회장을 비롯한 제약바이오 기업 대표들과 의견을 나누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규제기관 역량 강화·세제 지원·인력 양성 시급= 이날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자동차·반도체 산업보다 더 큰 바이오 산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세계시장을 바라보고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의 규제기관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정희 유한양행 대표는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벤처와 기업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므로 기업, 대학, 병원 등이 함께 연계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세창 한미약품 대표는 "임상 3상 등을 위해서는 R&D 지원이 대폭 확대돼야 하고, 생산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개방형 혁신 활성화와 인력 양성 중요성도 언급됐다. 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장은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업과 벤처 등이 함께 노력하는 개방형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고, 허은철 GC녹십자 대표 역시 "개방형 혁신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장은 "데이터 과학자 등 바이오 헬스 인재 양성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각 부처 장관들은 관심을 갖고 지원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화답했다. 유영민 과기부 장관은 "예측 가능한 R&D 정책을 통해 바이오헬스 기업이 우리나라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어 해외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성윤모 산자부 장관은 "임상·생산역량을 보유한 선도기업과 혁신적 기술을 보유한 창업·벤처기업 등이 상생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정책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의경 식약처장은 "신속한 품목 인허가 등에 필요한 부족한 심사인력 확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임상시험 제도개선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기업의 R&D 재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세제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바이오헬스 기업의 투자 확대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 보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행사에는 박능후 복지부 장관, 유영민 과기부 장관, 성윤모 산자부 장관, 이의경 식약처장, 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장, 서정선 바이오협회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이정희 유한양행 대표, 권세창 한미약품 대표, 허은철 녹십자 대표, 조정열 한독 대표 등 제약바이오 유관기관장 및 기업 CEO 20명이 참석했다. 이날 참석키로 했던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국회 일정으로 참석하지 못했고, 방기선 차관보가 대신 참석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