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에 300조원이 들어간 세계 최대 규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가 들어선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15일 발표한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에서 2042년까지 300조원 규모로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고고 밝혔다. 삼성전자 등 민간 기업의 대규모 신규투자를 바탕으로 조성되는 반도체 클러스터는 단일 단지 기준 세계 최대 규모다. 710만㎡(215만평) 부지에 시스템반도체 중심의 첨단 반도체 제조공장(팹) 5개가 들어선다. 정부는 국내외 우수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팹리스(반도체 설계) 분야 기업 최대 150개를 유치할 계획이다.
신규 클러스터는 기흥, 화성, 평택, 이천 등에 있는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 및 인근 소부장 기업, 팹리스 밸리(판교)와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반도체를 넘어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완성될 수 있다는 뜻이다.
메가 클러스터는 한국 기업들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메모리반도체 뿐 아니라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팹리스, 소부장 등 반도체 전 분야 밸류체인을 아우르는 구조다. 클러스터에서 기업, 연구소, 대학 간 공동 기술개발 및 실증 사업 수행, 우리 팹리스가 개발한 반도체 생산도 이뤄질 예정이다. 정부는 이곳이 국내외 우수 인재가 모인 글로벌 반도체 클러스터의 선도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차세대 반도체에 대한 대규모 핵심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정부는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과 함께 인공지능(AI) 반도체용 4나노 공정, 차량·가전 반도체용 레거시 공정을 적극적으로 개방해, 우수한 팹리스의 시제품 제작과 양산을 집중 지원해 2035년까지 매출 1조원 팹리스 10개를 육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아울러 전력, 차량용, AI 등 차세대 유망 반도체 핵심기술 개발에 2030년까지 3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1건당 50억~80억원 규모로 대기업-팹리스 간 구매조건부 수요연계 프로젝트도 정부가 지원한다.
세제와 인력 지원 계획도 밝혔다. 정부는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조특법 개정) 및 인프라 지원에 올해 1000억원을 할당했다. 또 2031년까지 현장형 인재, 석박사급 인재, 지역인재 등 15만명 육성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미세공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중요성이 높아진 첨단패키징 분야에도 24조원 규모의 생산·연구거점 민간 투자와 3600억원 규모의 정부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300조원 규모 세계 최대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은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이 첨단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자국 우선주의 기반의 강력한 견제와 파격적인 투자 지원을 추진중인 가운데 나왔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은 미래 먹거리이자 경제안보를 좌우하는 전략자산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반도체 제조 역량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정부의 지원 수준과 규제 여건은 아직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