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HAEVENUE 부산’ … 국제회의복합지구 공모사업 최대규모 국비 확보

수정 2023.03.06 09:59입력 2023.03.06 09:59

부산시는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에서 실시한 ’23년 국제회의 복합지구 활성화 공모사업에 부산관광공사, 벡스코와 공동으로 참여해 지난해보다 1억3000만원 증액된 국비 5억 5000만원을 확보했다.


이번 공모사업에는 부산을 비롯한 경기 고양, 인천, 광주, 대구 5개 도시뿐 아니라 대전, 경북 경주, 2개 도시가 추가로 참여해 국제회의복합지구 예산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그 결과 7개 지자체 가운데 최대 규모의 예산을 확보했다.


‘국제회의복합지구 활성화 공모사업’은 국제회의 경쟁력 강화와 산업발전을 위해 2019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문체부 공모사업이다.


‘국제회의산업육성에관한법’ 제15조의3에 따라 지정된 국제회의복합지구 소관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국제회의복합지구 내 국제회의 공간 활용과 기반 조성, 국제회의복합지구 산업생태계 조성, 국제회의집적시설 지원, 국제회의복합지구 내 편의 등을 지원한다. 부산은 해운대 국제회의복합지구가 2020년에 지정됐다.

시는 지난 3년간 사업 시행을 통해 벡스코 컨벤션홀 LED 구축, 마이스 안내소 설치, 화상 상담장과 마이스 스튜디오 등 국제회의 유치를 위한 기반을 조성했다. 또한 해운대 국제회의복합지구만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HAEVENUE’라는 독창적인 브랜드를 구축해 해운대는 물론 부산의 우수한 마이스 인프라를 알리는 데 주력했다.


해비뉴 ‘HAEVENUE’는 해운대(Haeundae)와 애비뉴(Avenue)의 합성어로, 마이스의 지상낙원을 뜻한다.

‘해운대 국제회의복합지구’ 브랜드 상표등록출원 완료.

이외에도, 고유 디자인 개발과 기념품 제작 시 스토리텔링을 통해 국내외 마이스 참가자들에게 흥미와 다시 찾고 싶은 국제회의 도시로서의 이미지를 심어줬다.


박형준 시장은 “앞으로 국제회의 유치를 위해 크고 작은 자원 개발과 인프라를 조성해 세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여건과 인프라를 갖춘 우리 부산을 두바이보다 멋진, 싱가포르보다 아름다운 국제회의 도시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는 코로나 비대면 시대에는 화상상담을 통해 국제회의를 꾸준히 유치했고, 현재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첨단산업을 비롯해 세계 191개국이 참가하는 ‘2025 세계도핑방지 총회’를 아시아 최초로 유치하는 등 국제회의 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여 나가고 있다.




영남취재본부 이동국 기자 marisd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교통카드 안 쓴 돈, 업체 주머니로…3년간 1200억 '꿀꺽'
수정 2023.03.06 15:34입력 2023.03.06 15:02

3년 간 귀속된 선불충전금 1200억원 달해
전체 낙전수입의 65% 교통카드사가 차지
마이비 126억원·캐시비 113억원 등 뒤이어


최근 3년 동안 국내 선불업체들이 거둬들인 낙전수입이 12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티머니·마이비 등 교통카드 회사의 낙전수입 규모가 컸다.


6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 동안 국내 선불사업자 27개 사가 거둬들인 낙전수입은 1192억8900만원에 달한다. 선불 충전금 중 효력이 지난 금액은 2020년 320억원, 2021년 443억원, 지난해 422억원이었다.


낙전수입이 가장 많은 업체는 교통카드 회사 '티머니'였다. 티머니는 3년 동안 537억원을 벌어들였다. 총 낙전수입 금액의 45%가 티머니에 귀속된 것이다. 그다음으로 마이비 126억원, 로카모빌리티(캐시비) 113억원 등 교통카드 회사의 낙전수입이 두드러졌다.


교통카드 선불사업자에 이어 에스엠하이플러스(하이패스)가 98억원의 낙전수입을 거뒀으며 DGB유페이는 53억원, 한국문화진흥(컬쳐랜드) 35억원, 한국선불카드 29억원, 지마켓 20억원, 롯데쇼핑 19억원, 부산하나로카드 19억원 등의 낙전수입을 거뒀다.

"유효기간 폐지하거나 공익 목적 활용방안 모색해야"

낙전수입이 발생하는 원인은 상법상 소멸 시효가 5년이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깜빡하거나 해당 카드를 분실하는 등 5년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해당 금액은 자동으로 선불업체에 돌아간다. 문제는 선불 충전금 규모가 해를 거듭하며 꾸준히 성장하면서 선불사업자들의 낙전수입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양정숙 의원은 "선불카드사 낙전수입 문제는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고 티머니는 분실 카드 환불, 잔액 환불 수수료, 낙전수입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지적을 받으면서도 속 시원히 해결하지 않고 있다"며 "티머니가 매년 자사재단을 통해 사회공헌 및 기부 활동을 하고 있지만 3년간 기부금은 74억원 수준으로 낙전수입의 약 5분의 1에도 못 미친다"라고 밝혔다.


이어 양 의원은 "지난해 4월 신세계그룹이 유통계열사 전반의 약관을 개선해 스타벅스코리아와 SSG닷컴 등 선불 충전금에 적용했던 유효기간을 폐지한 바 있다"며 "이런 사례를 선불업체들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 의원은 "소멸하는 선불 충전금을 서민금융진흥원 자금으로 출자해 활용하거나 대중교통 발전기금 등 해당 기업과 연관된 기금으로 활용 등 공익적 목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칩톡]美의 강공에도 굴하지 않는 中 반도체 키우기
수정 2023.03.06 08:00입력 2023.03.06 08:00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강공에도 중국이 자국 반도체 산업을 향한 지원 사격에 다시 나섰다. 미국이 중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을 위한 장비 반입을 막고, 보조금을 무기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중국 투자를 제한하는 상황에서도,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까지 나서서 투자를 쏟아부으며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중국, 반도체 굴기의 꿈 식지 않았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중국의 정부 홈페이지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중국 정부 펀드인 ‘국가집적회로산업 투자기금’은 자국 최대 메모리반도체 회사인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에 129억위안(약 2조4500억원)의 투자를 계획했다.


이 펀드는 2014년 중국 정부가 자국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조성한 펀드다. 450억달러를 확보해 대표적인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중신궈지(SMIC)와 YMTC를 포함한 중국 100여개 반도체 제조, 설계, 패키징, 테스트, 설비, 소재 등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했다. 하지만 지난해 이 펀드 내 고위 관계자들이 비위 혐의로 체포, 조사를 받은 데다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 수출 규제 등이 이어지면서 중국의 반도체 투자가 주춤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있어 왔다.


블룸버그는 "(YMTC에 대한 이번) 펀드의 투자 규모를 보면 중국 정부가 미국의 압박에 공격을 당하고 있는 자국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투자를 끌어올리려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중앙정부뿐 아니라 지방정부도 올해 들어 잇따라 반도체 산업 육성에 나섰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장쑤성 쑤저우시는 올해 시내 반도체 산업 생산량을 20%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300개 이상의 반도체 업체의 매출액을 지난해 1000억위안에서 올해 1200억위안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 당국은 올해 중 2~3개의 핵심 기술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10개의 선도 혁신 기업을 양성하며 3개 이상의 상장 기업을 배출해내겠다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쑤저우에는 현재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과 미국 반도체 업체 AMD의 공장 등이 있다. 쑤저우가 있는 장쑤성도 지난 1월 연구, 장비 구매, 반도체 디자인, 패키징 등을 위한 자금 지원을 하겠다면서 향후 3년간 매년 최소 5억위안을 쏟아붓겠다고 한 상태다.


쑤저우뿐 아니라 광둥성 광저우시도 지난달 반도체, 재생에너지 등 첨단 제조 분야에 향후 3년간 2000억위안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알리바바의 고향’ 저장성 항저우시도 같은 달 조세 절차 등을 간편화하는 등 집적회로(IC) 산업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거세지는 미국의 압박

미국의 압박 속에서도 이러한 투자 움직임은 중국 정부가 반도체 굴기의 꿈을 이어가겠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조치가 ‘과학과 기술에 대한 노골적인 패권주의’라고 비판, 반발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4일부터 이달 중순까지 진행되는 중국 ‘양회’에서 시진핑 국가 주석의 핵심기술 자립 기조를 감안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을 상당히 증액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정부는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막기 위해 지속적으로 공급망에서 제외하기 위해 지속적인 공격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10월 대중 반도체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하며 18㎚(나노미터·1㎚=10억분의 1m) 이하의 D램, 128단 이상 낸드플래시, 14㎚ 이하의 로직칩을 생산하는 중국 반도체 기업에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지 못하도록 통제했다.


이에 YMTC와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가 새로 짓고 있는 반도체 공장도 장비 반입이 중단되는 등 차질을 빚고 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하기도 했다.


중국 반도체산업협회(CSIA)는 지난달 일본과 네덜란드가 미국의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제한 조치에 동참하기로 한 것을 두고 "중국 반도체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입힐 뿐 아니라 세계 경제에 손상을 준다"면서 "장기적으로는 전 세계 소비자의 이익에 피해를 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여기에 미국 정부는 최근 자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을 짓는 기업에 제공하는 보조금을 받는 조건으로 향후 10년간 중국에 투자를 확대하지 않는 내용도 제시한 상태다. 세부 지침은 조만간 발표될 예정이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동으로 다음기사가 보여집니다.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