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마음 바뀐 안철수?…대통령실에 날 세운 까닭

수정 2023.03.05 07:00입력 2023.03.05 07:00

친윤에 눌리고, 반윤에 치이던 安
"대통령실 공정하지 않아" 작심 비판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의 행보가 미묘하게 달라졌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여러 차례 불거진 대통령실 개입 논란을 직접 거론하며 문제 삼았다.


안 의원은 "대통령실·비대위·선관위 모두 공정하지 않다고 느끼는 건 저만의 피해의식이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동안 대통령실의 공개 비판에도 겸허한 태도를 보였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전당대회에 출마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의 '손가락 메모'. '경선X/총선승리', '윤힘', '화합'이라고 쓰여있다.

안 의원은 지난 1일 페이스북을 통해 그동안 대통령실의 부당한 개입에 맞서지 않은 이유는 두 가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당원이 대통령과 당 대표가 갈등 빚는 것을 우려를 했고, 당 내분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모두가 총선 승리보다 전당대회 승리만 생각하는 모습이 실망스러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가 강하게 맞서지 않아 실망한 분들께 제 진심을 전하고 싶었다"라며 "총선 승리만 할 수 있다면 저는 국민의힘 문지기가 되어도 좋다. 그 마음만은 알아주셨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안 의원은 대통령실에서 '잘못된 표현'이라고 못 박았던 '윤-안(윤석열·안철수) 연대' 표현에 대해서도 "대선 때 후보 단일화를 했을 때를 놓고 보면 역사적 사실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앞서 안 의원은 대통령실이 '윤-안 연대' 표현을 비판하자, "그런 표현을 쓰지 않겠다"고 한발 물러난 바 있다. 그러나 대선 때 윤 대통령과 안 의원이 단일화한 사실만 놓고 보면 연대란 표현이 틀린 게 아니지 않느냐는 주장이다. 안 의원은 다만 "대통령과 (내가) 동급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안철수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 170V 캠프 출정식'에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안 의원이 인제 와서 대통령실 개입을 문제 삼는 것은 전당대회 지지율에 영향을 미치려는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발표된 국민의힘 전당대회 여론 조사를 보면 친윤(친윤석열) 후보로 대세론을 형성한 김기현 의원이 1위 자리를 굳히고 있다. 안 의원은 여론조사만 놓고 보면 결선 진출 가능성이 있지만, 천하람 후보의 추격세가 만만치 않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이 데일리안 의뢰로 지난달 27~28일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의힘 지지층 4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김 의원은 45.9%의 지지율로 1위를 차지했고, 2위인 안 의원은 23.0%, 3위 천 후보는 12.7%를 기록했다.


이준석 전 대표의 지원을 받는 천 후보는 반윤 표심 결집을 노리고 있다. 안 의원은 전당대회 과정에서 사실상 친윤도 반윤도 아닌 애매한 위치에 끼어 있었다. 전당대회가 코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안 의원이 대통령실 개입 문제를 들고 일어난 건, 지지율 상승의 막판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전략이 뜻대로 먹힐지는 미지수다. 대통령실도 안 의원의 태도 변화에 즉각 반응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일 안 의원을 겨냥해 "전당대회에 자꾸 대통령실을 끌어들이지 말아 달라고 여러 번 호소했다"고 한 차례 더 경고했다.




강주희 기자 kjh81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부동산 전문가 "올해 집값 하락"…내년 반등 전망도
수정 2023.03.05 09:20입력 2023.03.05 09:20

부동산 전문가의 90% 이상이 올해 집값 하락을 예상했다. 전문가 절반은 내년에 부동산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5일 'KB 부동산 보고서'를 통해 건설·시행·학계·금융 등 분야의 부동산 전문가, 전국 중개업자, 프라이빗뱅커(PB)를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올해 주택매매가격 전망을 묻자 전문가의 95%, 중개업자의 96%, PB의 92%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수도권 중개업자의 35%, 전문가의 26%가 하락 폭으로 '5% 이상'을 예상했고 비수도권의 경우 "5% 이상 떨어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중개업자 36%·전문가 39%)이 수도권보다 높았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주택매매가격 반등 시점의 경우 중개업자의 53%, 전문가의 45%, PB의 47%가 2024년을 꼽았다. "2025년에 반등한다"는 전망의 비율(각 그룹에서 29%, 34%, 40%)은 2024년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주택시장 연착륙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세 그룹 모두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완화, 주택담보대출 정책지원 확대, 생애 최초 주택구매 지원 등을 선택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주택 경기가 좋을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서울과 경기를, 가장 위축될 지역으로 대구와 인천을 지목했다. 투자 유망 부동산으로는 재건축(21%), 아파트 분양(21%), 준공 5년 이내 신축 아파트(16%), 재개발(12%) 순으로 거론됐다. 중개업자들은 신축 아파트(16%)·재건축(15%)·아파트 분양(14%)을, PB들은 재건축(22%), 신축 아파트(21%), 아파트 분양(17%)을 차례대로 선호했다.


아울러 연구소는 주택가격 조정 국면은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급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했다. 연구소는 "금융위기 당시 주요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70% 이상(미국 최고 100%, 영국 80∼100%, 홍콩 70%대 등)으로 느슨했지만, 한국은 50% 수준을 유지하면서 가계 부실이나 주택보유자 처분 압력으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2019년 주택가격 급등으로 금융 규제가 강화된 뒤 2022년 1분기 국내 가구의 LTV는 평균 38.8%로 낮고 은행권의 경우 LTV 40% 이하인 가구가 58.4%로 절반 이상이고 70%를 넘는 가구는 1%에 불과하다"며 "최근 금리 상승과 대출 부담 등이 주택 급매물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나타날 가능성은 작다"고 내다봤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일본, WTO 제소 취하 시 韓반도체 수출 규제 해제 검토"
수정 2023.03.05 09:41입력 2023.03.05 09:41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취하할 경우 대(對)한국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조율에 들어갔다고 요미우리신문이 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일 양국 정부는 일제 강제 동원(징용) 노동자 배상 문제의 해결에 맞춰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해제와 WTO 제소 취하를 거의 동시에 실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일본 정부는 2019년 7월 한국에 대해 반도체 관련 3개 품목의 수출관리를 강화했고 같은 해 8월에는 수출관리 우대 대상국인 '화이트 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했다.


일본 측은 당시 이런 조치에 대해 '안전보장상 대응'이라고 설명했지만, 한국 대법원의 일본 기업에 대한 징용 배상 판결에 대응한 보복 조치로 해석됐다. 한국 정부는 2019년 9월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는 부당한 조치라며 WTO에 제소했다.


일본 정부는 징용 문제와 관련해 일본 측이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한국 측이 발표하면 수출규제 해제를 위한 환경이 조성된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요미우리는 "한국의 제소 이후 해당 사안이 WTO에 계류돼 있어 일본은 해제 전 제소 취하를 요구하고 있다"며 "한국 측은 해제와 취하가 거의 동시에 이뤄지면 수용 가능하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 정부는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재원을 조성해 2018년 대법원의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원고에게 일본 피고 기업 대신 판결금을 지급하는 징용 해결책을 6일 공식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동으로 다음기사가 보여집니다.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