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을읽다]그 많던 한국의 천재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수정 2023.04.17 16:13입력 2023.02.05 07:00

한국연구재단 논문 발표
최소 절반~3분의2 귀국 안해

"그 많던 한국의 천재들은 어디로 갔을까?"


국내에서 수재ㆍ천재 소리를 듣던 고급 인력들이 해외 유학 후 돌아오지 않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엔 해외 명문대 박사 학위까지 딴 고급 인재들 중 최소 절반~최대 3분의 2가 귀국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주요 국가들이 기술 패권 경쟁 격화로 고급 인재 추적 관리에 들어갔지만 한국은 실태 파악도 제대로 하지 않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국내 한 대학의 졸업식. 기사와 관련이 없음. 자료사진.
돌아오지 않는 천재들

한국연구재단(NRF)이 지난해 12월 펴낸 '외국박사학위 취득자의 국내 연구 성과 분석' 보고서를 보면, 외국에 유학 간 한국의 인재들 중 박사 학위까지 땄지만 돌아오지 않고 현지에서 취업해 머무는 경우가 최소 절반에서 최대 3분의 2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NRF가 운영하는 '외국박사학위신고시스템'의 신규 신고자, 즉 해외 유학으로 박사 학위를 딴 후 귀국해 국내 취업을 위해 신고한 사람의 숫자는 2019년 1109명, 2020년 1276명, 2021년 998명 등 매년 1000명 안팎인데, 대학원 이상 유학생 숫자는 지난해 4월 기준(교육부 통계) 총 2만7853명으로 이보다 훨씬 많다. 대륙 별로는 북미(1만4617명)가 가장 많다. 유럽(8134명), 아시아(4163명), 오세아니아(854명), 중남미(78명), 아프리카(7명) 등의 순서였다.


통계 수치가 확실한 미국 한 곳만 살펴봐도 이같은 추세는 더 뚜렷이 확인된다. 미국과학재단(NSF)은 2019년 한국인 출신 박사 학위 신규 취득자 수가 1164명이라고 밝혔다. 그런데 같은 해 NRF의 외국박사학위신고 시스템에는 1109명이 신규 등록했다. 다른 대륙을 빼고 미국 한 곳에서만 전체 신고 규모보다 55명이나 더 많다. 여기에 미국 등 북미 지역의 대학원 유학생 숫자는 전체의 절반가량(2022년 4월 기준 2만7853명 중 1만4617명ㆍ52.47%)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귀국 후 미신고나 중도 포기 등 다른 변수를 감안하더라도 최소 절반에서 최대 3분의 2 이상의 외국박사학위 취득자들이 귀국하지 않고 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하나 카이스트(KAIST) 기술경영학과 교수는 "외국으로 유학 간 사람들 중 박사학위를 따고 귀국한 사람들보다 돌아오지 않은 사람들의 숫자가 훨씬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특히 미국에 유학 갔다가 돌아오지 않을 확률이 더 높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왜 고국을 버리나

해외에 남는 과학기술자들의 숫자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재외한인과학기술자협회 회원 숫자는 약 2만589명으로 전년 대비 270명 늘어났다. 다만 2021년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확산)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42명 감소한 2만319명이었다. 국가별로는 지난해 기준 미국이 7278명으로 가장 많았다. 캐나다(3040명), 일본(3000명), 중국(2500명) 등의 순이다. 재외 한인과학기술자협회가 구성된 곳은 전 세계 17개국이다. 또 정부가 지원하는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 회원 수는 2019년 기준 약 14만7000명에 달한다. 박계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 국제부장은 "해외에서 일하는 한인과학자들의 숫자는 약간의 진폭은 있지만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면서 "2010년대 1만9000명 대에서 2020년대 2만명 대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인재들이 돌아오지 않는 이유는 뭘까? 자유롭고 풍족한 연구 환경과 높은 연봉ㆍ복지, 많은 일자리, 자녀 교육ㆍ안정된 생활 환경 등이 거론된다. 2010년대 초반 귀국한 '미국 박사' A 교수는 "출국할 때부터 귀국할 생각이었고 부모님 연세 등 때문에 돌아오긴 했지만 권위적인 연구실 분위기와 아이들이 적응하기 어려울 것 같아 많이 망설였다"면서 "동료 유학생들이 한국에 돌아오길 꺼리는 이유가 바로 그 두 가지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 부장도 "인공지능(AI) 등 정보통신기술(ITC) 등의 분야에서 많은 젊은 과학기술자들이 일자리가 많고 대우가 훨씬 좋은 미국 실리콘 밸리 등에서 직업을 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거주 환경ㆍ아이들 교육 등도 중요한 고려 요소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ㆍ중 기술 패권 경쟁 등에 따른 해당 국가들의 '내재화 및 인재 확보' 정책도 영향을 끼쳤다. 1990년대 후반 유학간 재미 과학기술자 B(53)씨가 대표적이다. 최근까지도 은퇴 후 귀국을 염두에 두고 장기체류비자를 이용했지만 학교 당국의 적극적인 권유로 2년 전 시민권을 취득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 이후 외국 출신 인력들에 대한 정책이 바뀌면서 학교 측에서 시민권 취득 여부를 매년 확인하고 채근했다"며 "한국에 돌아가도 취업하기 어려울 것 같고 아이들이 귀국을 싫어해 시민권을 땄다"고 말했다.


이같은 인재 유출 현상에 대해 정부는 제대로 된 통계조차 없다. 김 교수는 "미국은 박사 연합회 형태의 조직을 만들어 실시간 자체 통계를 내고 있고 일본도 3~4년마다 연례적으로 설문조사 등을 통해 박사급 인재들의 이력을 추적 관리하고 있다"면서 "고급 인력이 한국으로 다시 돌아오지 않는 상황에서 인적 자원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선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해외 국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들에 대한 추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in전쟁사]'미국에 뜬 中 풍선기구'…일본은 80년전 폭탄풍선 날렸다
수정 2023.03.10 10:18입력 2023.02.05 11:00

드론의 시초는 1849년 등장한 '풍선폭탄'
1차 세계대전 이후 훈련·정찰용에 주로 사용
2010년대 중동 내전 이후 주력무기로 급부상

편집자주[뉴스in전쟁사]는 시시각각 전해지는 전세계의 전쟁·분쟁 소식을 다각적인 시각으로 알려드리기 위해 만들어진 콘텐츠입니다. '뉴스(News)'를 통해 현재 상황을 먼저 알아보고, '역사(History)'를 통해 뉴스에 숨겨진 의미를 분석하며, 다가올 가까운 미래의 '시사점(Implication)'을 함께 제공해드리겠습니다.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개전 초기만 해도 사흘이면 끝날 것이라던 우크라이나 전쟁이 벌어진지도 1년 가까이 지났습니다. 지난해 가을부터 월동준비에 들어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군의 전선이 고착화되면서 최전선은 조용해졌지만, 오히려 후방 지역에 대한 공습은 더욱 심해지고 있죠.


이 공습을 주도하는 무기가 '드론(Drone)'입니다. 전쟁 장기화로 미사일까지 고갈된 러시아는 이제 이란에서 수입한 드론에 소형폭탄을 달아놓은 일명 '자폭드론'을 우크라이나 도심지로 대거 날리고 있죠. 이로인한 민간인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러시아군과의 격전지인 바흐무트 인근에서 우크라이나군인들이 정찰용 드론을 띄우고 있다. 바흐무트=AP·연합뉴스

이러한 드론은 무인기(UAV)와 혼용돼 사용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약간 다른 의미를 갖고 있는데요. 무인기는 글자 그대로 '사람이 조종하지 않고 있는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전체를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입니다. 드론도 무인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죠. 드론 뿐만 아니라 자율조종시스템에 따라 움직이는 전투기나 헬기도 모두 무인기에 속합니다.


이 무인기 중 드론은 원래 1930년대 공군 비행사들의 훈련용 표적으로 만든 무선조종 비행기를 통칭하는 용어였습니다. 원래 단어 뜻은 '수펄'인데요. 영국에서 1935년 개발한 '퀸비(Queen Bee)'라는 훈련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미군에서 이런 무선 조종기들을 통틀어 드론이라고 부르면서 명칭이 굳어지게 됐죠.

1935년 영국에서 개발된 무선조종 드론인 퀸비(Queen Bee) 드론의 진수식에 참석한 윈스턴 처칠 수상의 모습.[이미지출처= 영국 임페리얼 전쟁박물관(IWM)]

이제 드론은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메인기사에 늘 등장하는 화제의 무기가 됐습니다. 21세기의 복합 전쟁을 뜻하는 일명 '하이브리드(Hybrid) 전쟁'을 주도하는 첨단무기처럼 인식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드론의 사전적 의미를 '지상 공격용 무인기' 전체로 확장한다면, 실제 드론의 역사는 이보다 훨씬 더 길어진다고 합니다. 바로 19세기 중반에 쓰였던 '풍선폭탄(Ballon Bomb)'이 세계 최초의 전쟁용 드론이라는 것이죠. 물론 그 당시부터 극히 최근까지 드론은 지금과 같이 전장을 뒤흔드는 지위의 무기는 아니었습니다.


170년 이상 전쟁의 조역만 맡다가 갑자기 주역이 된 셈입니다. 온갖 첨단무기가 난무하는 21세기에 상대적으로 구조도 간단하고 저렴한 이 드론은 어떻게 전장의 주요 무기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일까요?

뉴스(News) : 美, 러에 드론 수출하는 이란기업 제재
우크라이나군이 지난해 9월 공개한 러시아군의 공습용 자폭드론의 모습. 러시아가 이란에서 수입한 이란제 샤헤드-136 드론으로 알려졌다.[이미지출처=연합뉴스]

먼저 드론의 현재 위상을 알 수 있는 뉴스부터 살펴보죠.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1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에 사용된 드론을 생산한 이란 기관 7곳에 대해 수출제한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달 26일 키이우를 비롯해 우크라이나 전역을 이란제 드론으로 공습했습니다. 해당 공습으로 우크라이나에선 11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죠.


정작 러시아에 드론을 수출하는 이란 또한 드론에 피격을 당했습니다. 영국 BBC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이란 국방부는 수도 테헤란 남쪽의 이스파한주의 군사장비 생산시설이 자폭드론 공격을 받았다고 밝혔죠. 배후는 이스라엘 군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도 러시아에 반격할 드론을 만들고 있는데요.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올렉시 레즈니코프 우크라이나 국방장관은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올해 드론과 무인항공기(UAV) 구입에 5억 4500만달러(약 6700억원)를 지출할 것"이라고 썼습니다. 막대한 재정난에도 전장의 필수품이 된 드론 구매에는 돈을 아끼지 않겠다는 것이죠.

역사(History) : 1849년 베네치아 공방전에 쓰인 '풍선폭탄'에서 유래
1849년 7월 오스트리아군이 베네치아 공방전 당시 사용한 풍선폭탄의 모습을 그린 삽화.[이미지출처= Science Photo Library]

이렇게 전세계 분쟁지역의 뉴스 1면을 장식 중인 드론이 처음 실전에 쓰인 것은 1849년이었다고 합니다. 지금부터 무려 174년 전인데요.


구글이나 검색사이트에서 '드론의 역사(History of Drone)'란 단어를 입력하면, 1849년 7월 오스트리아군이 이탈리아의 베네치아를 공격할 때 사용했다는 기록상 세계 최초의 드론을 만날 수 있습니다. 마을 위에 풍선들이 잔뜩 떠있는 그림이 있는데, 여기 나온 풍선이 바로 최초의 드론인 '풍선폭탄(Balloon Bomb)' 입니다.


이 풍선폭탄에 대한 기록은 네덜란드의 국제사법 연구기관인 어셔 인스티튜트(TMC Asser institute)에서 2016년 출간한 '드론 사용의 미래(The Future of Drone Use)'라는 책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당시 쓰인 풍선폭탄이 어떻게 사용됐는지 자세히 나와있죠.


1848년 당시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던 베네치아에서 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오스트리아군이 이를 진압하기 위해 출격했는데 이 진압부대를 이끌던 프란츠 폰 우하티우스(Franz von Uchatius)란 장군이 이 풍선폭탄을 고안했다고 전해집니다.


지금이나 그때나 물의 도시인 베네치아는 도시 전체가 수로로 거미줄처럼 얽힌데다 지중해로 연결된 항구가 있어 포위공격이나 포격이 매우 어려웠다고 하는데요. 이에 우하티우스 장군은 베네치아 수비대의 사기를 꺾기 위해 군함에 풍선폭탄을 가득싣고 해상으로 나간 뒤, 도심지로 풍선에 매단 폭탄을 날려 떨어뜨리는 세계 최초의 공습 작전을 감행합니다.


당시 풍선에 매달 수 있는 폭탄은 11~14kg 정도였다고 하고, 이 폭탄들은 시한폭탄이라 약 30분 뒤에 폭발하도록 설계됐다고 합니다. 지상에서 수많은 시험을 거쳐 해안 인근에서 띄운 풍선이 베니스 시내까지 도달하는데 20~30분 정도 소요되는 것을 감안해 고안한 것인데요. 이런 풍선폭탄을 무려 200개나 날려보냈다고 하죠.


하지만 이 우하티우스 장군의 풍선 드론은 전황을 크게 뒤집진 못했다고 합니다. 작전 도중 바람 방향이 바뀌면서 도시 내로 들어간 폭탄은 1개 뿐이었고, 큰 피해도 입히지 못했다고 하죠. 그래도 병력 손실 없이 적에게 반격받을 우려도 없다는 장점이 부각됐죠.


1944년 일제가 미국으로 날려 보냈던 풍선폭탄의 모습.[이미지출처= 미 육군 홈페이지]

이 풍선폭탄 드론 아이디어는 이후 1944년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다시 활용하게 됩니다. 일본 군부는 1944년 11월부터 1945년 4월까지 풍선에 매단 폭탄 9300개를 캘리포니아로 띄웠는데, 이중 실제 미국까지 당도한 것은 300개 정도였고 사상자도 6명에 그쳤죠.


이러한 공격용 무기로서의 자폭드론이 아닌 일반 무인기로서의 드론은 공군 훈련용으로 많이 사용됐습니다. 영국 임페리얼 전쟁박물관(IWM)에 따르면 최초의 비행기 형태의 드론은 1917년 1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당시 오늘날 무선조종(RC) 비행기와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보통 신병들의 사격훈련이나 정찰, 적군의 사격을 유도하기 위한 작전용 미끼 역할을 하다보니 전장에서 주목받던 무기는 아니었죠. 특히 공습용 무기로서의 지위는 1944년 나치 독일이 V-2 로켓을 개발한 이후 미사일로 넘어가게 되면서 드론은 전장의 중심에서 멀어졌습니다.

시사점(Implication) : 21세기 '하이브리드 전쟁' 정점에 선 드론
지난달 26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습 당시 키이우 인근에 추락한 순항미사일의 모습. 러시아군은 전쟁 장기화로 미사일 재고가 대부분 소진되면서 탄두가 제거돼있는 옛 소련제 미사일을 사용해 불발탄이 늘고 있다. 키이우=로이터·연합뉴스

이처럼 주요 전쟁에서 조역으로 등장했던 드론이 주력 공격 무기로 새롭게 조명받게 된 것은 2010년대부터였는데요. 미국의 미사일방어시스템(MD)과 러시아의 S-300, S-400 등 첨단 방공시스템이 등장하면서 드론의 가치가 재확인됐습니다. 기존 폭격기를 동원한 지상공격이나 공대지 순항미사일이 전부 이 방공시스템에 의해 차단되면서 그 틈을 노릴 수 있는 더 작고 날렵한 드론이 각광을 받게 된 것이죠.


특히 드론은 2010년 12월 튀니지를 시작으로 전 중동에 퍼졌던 이른바 '아랍의 봄' 이후 시리아, 이라크, 예멘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중동 내전에서 맹활약했습니다. 드론의 공습 능력이 전세계적으로 주목받은 것은 2019년 9월 예멘 후티 반군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세계 최대 유전시설인 아브카이크 정유공장을 드론으로 타격한 이후인데요.


당시 예멘 후티 반군은 사거리 700km의 드론 수십대로 아브카이크 정유시설을 타격했고 사우디군의 방공망은 이 드론들을 제대로 격퇴하지 못하면서 전세계에 드론 쇼크를 안겨줬습니다.


지난 2019년 9월, 사우디 최대 정유시설인 아브카이크(Abqaiq) 정유시설이 예멘 후티반군의 자폭용 드론공격으로 대형 화재에 휩싸인 모습.[이미지출처=연합뉴스]

연간 국방예산만 500억 달러 (약 61조원)가 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이 무기를 수입한다는 사우디는 미국으로부터 구매한 패트리어트 방공시설까지 갖추고 있었지만 후티 반군이 쏜 이란제 드론을 막지 못했던 것이죠. 1발에 100만 달러가 넘는 패트리어트 방공 미사일로 고작 2만달러 남짓인 이란제 드론을 전혀 막지 못한 것입니다.


러시아도 2014년부터 이어지는 시리아 내전에서 이 드론을 활용한 공습작전을 적극 활용하게 됐다고 알려져있죠. 미국전쟁연구소(ISW)에 따르면, 현재 우크라이나 전선에 투입된 러시아군을 총괄 중인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참모총장은 2015년 이후 러시아의 지역사령관 및 여단 이상을 이끄는 주요 장교들을 시리아에 순환 파견했고 특히 자폭용 드론과 UAV의 지상 공습 운용을 군에 학습하는데 노력해왔다고 합니다. 이것이 현재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지고 있는 드론 공습으로 이어졌다는 것이죠.


결국 앞으로의 미래 전장에서도 드론은 뛰어난 가성비를 바탕으로 각광받게 될 전망입니다. 시대의 변화가 가져온 틈새시장이 제품의 위상을 순식간에 뒤바꿔 놓는 것은 상품시장이나 전쟁터나 마찬가지인 셈입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서울 아파트값 '빅3' 지각 변동…송파 빠지고 '강남·서초·용산'으로
수정 2023.02.05 07:00입력 2023.02.05 07:00

[아시아경제 차완용 기자] 서울 지역별 아파트값에 변화가 생겼다. 평균 매매가격 상위 '빅3'를 차지하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가운데 송파구가 3위 자리에서 이탈했다. 대신 이 자리는 대통령실 이전과 국제업무지구 개발 등 각종 호재를 품고 있는 용산구가 꿰찼다.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

5일 KB부동산 1월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가장 비싼 곳은 강남구로 8727만 5000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4874만7000원인 것과 비교하면 4000만원가량 높다.


이어 서초구가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 8555만 2000원으로 2위를 차지했고, 용산구가 6661만원으로 3위를 기록했다.


1년 전인 지난해에는 1월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의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각각 8338만 4000원, 7605만 5000원, 6108만 6000원으로 상위 3위권을 형성했다. 용산구는 5849만 2000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그런데 지난해 용산은 대통령실 이전과 용산공원 조성에 이어 서울시가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구상’을 발표하면서 일대 집값이 들썩였지만 송파구는 강남 3구 중 집값이 가장 먼저 내림세로 돌아서며 큰 하락폭을 보였다.

그 결과 작년 9월부터 순위가 역전됐다. 용산구는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6120만 1000원을, 송파구는 6102만 6000원으로 집계됐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96% 하락했는데 송파구는 5.88% 떨어지면서 서울 전체보다 낙폭이 컸다. 반면 지난해 용산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되레 올랐다. 용산구 아파트값은 2.41% 상승하면서 종로구(1.02%), 서초구(0.71%)와 함께 상승 변동률을 기록했다.


강남 3구와 용산구, 송파구 다음으로는 성동구(5651만 5000원)와 마포구(5279만 3000원), 광진구(5201만 4000원), 양천구(5021만 6000원)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5000만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동작구(4794만 9000원) ▲종로구(4769만 1000원) ▲강동구(4712만 7000원) ▲영등포구(4690만 6000원) ▲중구(4672만 1000원) ▲강서구(4059만 6000원) 아파트 평당 매매가가 4000만원을 웃돌았다. 또 ▲서대문구(3944만 1000원) ▲동대문구(3781만원) ▲은평구(3594만원) ▲성북구(3567만 9000원) ▲노원구(3525만 3000원) ▲관악구(3502만 9000원) ▲구로구(3379만 5000원) ▲중랑구(3178만 2000원) ▲금천구(3082만 8000원) ▲강북구(3081만 8000원) ▲도봉구(3037만 9000원) 등으로 나타났다.




차완용 기자 yongch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동으로 다음기사가 보여집니다.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