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명절 잔소리에 부글부글…'심장마비' 실제 급증한다

수정 2023.01.20 13:25입력 2023.01.20 13:25

심장마비 발생 급증…하루 60명
스트레스·과도한 음주 멀리해야

민족 대명절인 설 연휴가 그리 반갑지 않은 이들도 있다. 명절 전후 과도한 가사노동에 시달리거나 친척의 잔소리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이들이 그 예다. 명절 때마다 되풀이되는 스트레스에 오죽하면 '명절 증후군'이라는 단어가 생겨났을 정도다.


특히 명절 증후군은 장시간 가사노동에 시달리는 주부뿐만 아니라 취업이나 결혼을 준비하는 자녀, 손주를 돌보는 노년층 등 다양한 이들에게 나타나고 있다. 관련해 명절 연휴 스트레스로 인해 유독 심정지(심장마비) 환자가 많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명절 스트레스에 신체·정신적 증상 나타날 수도
[이미지출처=아시아경제DB]

명절에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정신적 증상을 겪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신체적 증상에는 어지럼증, 두통, 식욕부진, 소화불량, 피로감 등이 있으며, 정신적인 증상에는 짜증, 우울, 불안, 무기력, 집중력 저하 등이 있다.


특히 정신적 증상이 계속되면 화병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화병은 분노와 억울한 감정이 쌓여 가슴의 답답함과 불면증, 두통 등으로 이어지는 질환이다. 이를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신체 자율신경 이상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고혈압, 당뇨병, 심장 질환 등 만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 과도한 가사 노동으로 인해 어깨, 허리, 손목 등 관절 질환이 생기기도 한다. 증상을 방치하면 손목터널 증후군, 허리 디스크, 목 디스크 등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신체·정신적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치료받아야 한다.


설 명절 유독 '심장마비' 많은 이유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이 가운데 스트레스로 인해 명절 기간 심정지 환자가 많이 발생한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메디플렉스 세종병원 심장내과 연구팀은 2012~2016년 전국 응급실을 찾은 '병원 밖 심정지' 13만9741건 중 내과적인 질환으로 심정지가 발생한 9만566명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극단적 선택은 제외됐다.


연구 기간 명절 연휴는 총 43일이었고, 총 2587명의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다. 명절 연휴 하루 평균 60.2명이 심정지로 쓰러진 셈이다.


동기간 ▲평일(1243일)에는 51.2명 ▲주말(491일)에는 53.3명 ▲공휴일(50일)에는 52.1명의 심정지 환자가 나왔다. 특히 명절 연휴 중에서도 명절 전이나 당일보다 끝자락(연휴 셋째 날)에 심정지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명절에 심정지 발생이 많은 이유로 스트레스 증가, 과도한 알코올 섭취, 수면 등 신체 활동 주기 변화 등을 꼽았다. 연구팀은 "한국인은 명절이 되면 더 게을러지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등 생활 패턴이 갑자기 바뀐다"면서 "이런 변화는 심뇌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나쁘게 작용할 수 있어 명절에도 생활 리듬을 지키면서 응급상황에 대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가입자 쟁탈전' 사라지자…휴대폰 비싸게 사는 사람들
수정 2023.01.20 21:43입력 2023.01.20 08:46

휴대전화 이용자 30만명대로 하락
이통사 경쟁 안하니 보조금도 줄어


[아시아경제 임혜선 기자] 이동통신사를 변경한 휴대전화 이용자가 월평균 30만명대로 낮아지며, 이통사 간 '가입자 뺏고 뺏기기' 경쟁이 모습을 감추고 있다. 이통사 입장에선 가입자 유치에 쓰던 마케팅 비용을 줄여 이익이 높아졌지만, 소비자들은 단말기 보조금이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단말기유통법 이후 한산해진 휴대폰 판매점

20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발표한 지난해 이동통신 3사와 알뜰폰의 번호 이동자수는 452만9524명으로 전년(508만1700명)보다 55만2176명(11%) 감소했다. 월평균으로는 37만7460명에 그쳤다.


2012년 105만명에 육박했던 월평균 번호이동자수는 이통사의 보조금 경쟁을 제한한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여파로 2015년 58만명으로 떨어졌다. 이후 3년간 50만명대를 유지하다 2018년 40만명대로 내려앉았다.


이통사별로는 SK텔레콤으로 번호 이동한 이용자수가 103만8500명으로 전년(126만1124명)보다 22만2624명(17%)으로 줄었다. 2012년(551만874명)에 비해서는 5분의 1 수준이다. SK텔레콤 번호이동자수는 2019년 205만1321명을 기록한 이후 100만명대로 줄었다.

KT는 71만3243명으로 전년(91만4898명)보다 20만1655명(22%), LG유플러스는 80만979명으로 전년(97만211명)보다 16만9242명(17%) 감소했다. 이들도 지난해 번호이동자가 100만명대 밑으로 떨어진 후 회복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통신업계는 지난해 스마트폰 신제품 효과에 e심 및 5G 중간요금제 도입 영향으로 번호이동 시장이 예년보다 활발할 것으로 봤다. 하지만 결과는 기대 이하였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삼성전자 갤럭시와 애플의 아이폰이 역대급 판매량을 기록했음에도 번호이동 시장은 잠잠했다. 이통사들이 수익성 강화를 위해 마케팅 비용을 줄인 게 이유다. 1개의 휴대폰으로 2개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e심 제도 효과도 없었다. 가계통신비 경감을 위해 정부에서 야심차게 추진한 5G 중간요금제로 통신사별 이동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도 깨졌다.


단통법 시행 이후 이통사간 보조금 출혈 경쟁이 사그라들면서 소수 이용자만 혜택을 보는 '이용자 차별'은 완화됐다는 평가다.


하지만 이로 인해 많은 이용자들은 휴대전화를 비싼 값에 사게 됐다. 오히려 혜택은 이통3사가 받았다. 과거처럼 보조금 경쟁이 과열되지 않자 이통 3사는 매년 호실적을 냈다. 결국 통신사의 배만 불리고, 국민에게 통신비 부담만 가중됐다. 전 국민이 '호갱(호구+고객의 합성어)이 된 셈이다.


지난해 이통3사의 영업이익은 4조5000억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가의 5G 요금제로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늘었다. 대신증권은 SK텔레콤의 무선 ARPU이 3만1100원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KT와 LG유플러스는 3만3000원, 3만400원으로 각각 3.8%, 0.3% 늘었다. ARPU가 늘었다는 건 이용자들이 그만큼 통신사에 돈을 더 냈다는 의미다. 일부 이용자들이 단통법을 폐지해 자율경쟁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반면 알뜰폰으로 갈아탄 사람은 늘었다. 통신비를 줄이기 위한 20~30대 젊은 세대들에게 유심 요금제와 자급제 단말기 조합이 인기가 높아서다. 알뜰폰 요금제는 기존 통신요금 대비 최대 30% 저렴하다.


지난해 알뜰폰 번호이동자수는 197만6802명으로 전년(193만5467명)보다 소폭 증가했다. 알뜰폰 번호이동자수가 전체의 40% 이상을 차지한 셈이다. 알뜰폰으로 번호 이동한 이용자수는 2019년 86만5696명, 2020년 119만3017명, 2021년 193만5467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알뜰폰 가입자 수는 2021년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한 후 지난해 11월 기준 1263만 명을 넘어섰다. 알뜰폰은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16.4%를 차지하며 LG유플러스 자리를 넘보고 있다.


그렇다고 해도 알뜰폰이 5G 서비스 중심인 이통 3사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 알뜰폰 이용자 대부분이 LTE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어서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마케팅에 투자하기 보다 기존 가입자를 지키면서 많은 매출을 끌어올리는 방향을 선택하는 게 효율적이다.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넣은 고가 5G 요금제로 이용자를 유인하는게 남는 장사라는 판단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통신사들이 치열한 경쟁을 할수록 소비자들에게 가는 혜택은 늘어난다"면서 "통신 시장 경쟁을 촉발할 카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시장형 일자리' 늘린다는 정부…노인들은 "안 할래요"
수정 2023.01.20 06:11입력 2023.01.20 06:11

노인 4423명 한달 모집하니 1218명 미달
공공형 참여율 폭주, 시장형은 '0명' 사업도
"일자리 질 높여야 미스매칭 문제 해결돼"

[아시아경제 세종=송승섭 기자] 정부가 노인 일자리 배분계획을 바꿨다. 예산은 한정돼 있는데 공공형 일자리의 인기는 폭주하는 반면 시장형 일자리는 계획인원을 한 명도 못 채우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어서다. 정부는 앞으로 시장형 일자리를 늘려나간다는 방침인데, 양질의 일자리 개발 없이 양만 늘렸다간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가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0일 아시아경제가 지난 한 달 간 노인들을 대상으로 공급된 정부주도 일자리 5만5945개를 전수조사해보니 시장형 일자리에서 ‘미스매칭’ 현상이 두드러졌다. 조사지역은 인구대비 노인인구 증가배율이 큰 고령화 위험지역 상위 10개(울산 동구·중구·남구, 부산 사상구·영도구·북구·사하구, 서울 금천구·구로구, 대구 서구) 도시다.


공공형 참여율 폭주, 시장형은 미달 속출

시장형 일자리는 총 4423개로 1218명이 미달됐다. 공고 대비 참여율은 72.4%로 약 30%의 결손인원이 발생했다. 최저 참여율을 기록한 지자체는 대구 서구였다. 332명의 시장형 노인 일자리를 공급하려 했으나 54.6%인 182명이 지원하는데 그쳤다. 울산 남구도 405명의 계획인원 중 실제 참여인원은 233명에 불과해 참여율은 57.5%였다. 미달이 없었던 지자체는 시장형 일자리 사업이 6개(계획인원 158명)밖에 없었던 울산 동구뿐이었다.


참여인원이 0명인 사업도 있었다. 이들 10개 도시에서만 일자리 272개가 참여율 0%를 기록했다.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길가온복지회’는 올해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을 위해 공동작업자에서 일할 노인 60명을 공고했지만 참여자를 모집하는데 실패했다. 울산 남구에서는 협동조합 ‘행복느티나무’가 주3회 근로, 활동비 월 36만3000원을 제시했지만 계획인원 30명을 모두 채우지 못했다.

반면 공공형 일자리는 5만1522개가 공급됐음에도 95.0%의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일부 사업에서는 신청자가 폭주하자 애초 계획했던 인원보다 십수명을 추가 선발하는 일도 벌어졌다. 서울 금천구는 시장형 일자리 참여율이 58.9% 남짓이었지만 공공형 일자리는 4932명 중 4731명이 참여해 95.9%의 참여율을 보였다. 참여율이 가장 낮은 울산 동구도 74.3%로 시장형 평균 참여율보다 높다.


가난한 노인들, 경력 따지는 시장형 일자리 곤란

유독 시장형 일자리에서 미스매칭이 잦은 건 구인·구직자의 니즈가 다르기 때문이다. 정부 일자리를 원하는 노인들은 통상 소득이 적거나 학력이 낮다. 그런데 시장형 일자리의 경우 참여 기업들이 이력서와 학력, 경력 등을 요구한다. 선발기준도 공공형이 ‘소득’이라면 시장형은 1순위가 ‘자격·경력’이다. 저학력·무경력 노인이라면 시장형 일자리에 지원하기 어려운 구조다.


지난달 15일 마초구청에서 열린 노인 일자리 박람회 [이미지출처=연합뉴스]

기업은 시장형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려면 경력을 따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노인을 고용하면 국가가 임금을 보전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지만, 업무 자체가 어느 정도 전문성을 띠는 경우가 많다. 산재보험에도 가입시켜줘야 하는데 근로 중인 노인이 다치면 중대재해처벌법까지 걱정해야 하기 때문에 일이 서투른 노인을 선뜻 고용하기 어렵다.


이렇다 보니 시장형 일자리가 더 많은 월급을 줌에도 생계가 어려운 저학력·저소득 노인들이 공공형 일자리로 몰리고 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2021 노인 일자리 사업 정책효과 분석 연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공공형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 중 46.9%가 초등학교 졸업자, 19.6%가 무학력자다. 대학 학위가 있는 사람은 2%뿐이다. 반면 시장형은 초졸자 비중이 34.6%로 적고 대졸자도 6.8%로 비중이 3배 이상이었다.


"시장형 일자리 늘릴 거면 질적 제고해야"

문제는 시장형 일자리에 대한 노인들의 수요가 적은 상황에서 정부가 민간주도형 일자리를 확대할 경우 미스매칭 문제가 심각해질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이다. 정부는 보다 나은 일자리 제공을 목표로 올해 민간·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27만5000개로 3만8000개 늘렸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계속 나이를 먹고 고령화 속도도 빨라지는 상황”이라면서 “한정된 예산으로 노인 분들을 위한 일자리를 많이 제공하려면 민간협력 일자리를 늘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노인 일자리의 양적 확대보다 질적 제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시장형 일자리에 지원할 자격이 있는 노인들은 점점 늘어나는데, 참여할 만큼 매력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70~80대 노인들에게는 공공형 일자리가 적합할 수 있고 지금의 기조를 유지해도 괜찮다”면서 “새로 노인에 접어드는 세대는 취업활동 경험과 전문성이 다르기 때문에 시장형 일자리를 다양화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동으로 다음기사가 보여집니다.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