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위축에 플렉스·욜로 현상도 시들
작은 돈으로 사치 누리는 '스몰 럭셔리'
고가 화장품 이어 프리미엄 샴푸도 인기
고물가 여파로 소비심리가 위축한 가운데 일부 소비자를 중심으로 '스몰 럭셔리'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 한때 '욜로'나 '플렉스' 등 과시형 소비가 유행했다면, 지금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는 명품 립스틱이나 향수가 유행하고 있는 셈이다.
명품 가방 대신 고가 향수·화장품 찾는 소비자
물가가 연일 치솟으면서 소비자들의 명품 소비가 위축되고 있다. 롯데멤버스가 리서치 플랫폼 '라임(Lime)'을 통해 지난달 11~25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26.1%가 물가 부담으로 최근 명품 소비를 줄였다고 답했다. 이어 의류·패션잡화(25.8%), 전자제품(11.6%) 등이 꼽혔다.
반면 고가의 화장품·향수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자신을 위해서라면 기꺼이 투자하는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사이에서 이 같은 제품의 인기가 높다.
이는 매출에서도 드러난다. 롯데백화점은 지난해 최초로 향수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도 신기록을 경신 중이다. 지난 1~10월 향수 매출은 20·30세대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40% 신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가의 화장품 또한 여전한 인기를 보인다. CJ올리브영에서 판매되는 프리미엄 화장품은 올해 1~11월 누적 기준으로 전년 대비 매출이 38% 늘었다.
이러한 현상을 '립스틱 효과'라고도 부른다. 이는 1930년 미국의 대공황 시기 소비자들이 지갑을 굳게 닫았지만, 오히려 립스틱 매출은 크게 증가한 상황을 두고 생긴 단어다. 즉 경제가 불황일수록 외제차나 명품 가방 등에 큰돈을 사용하는 것보다 명품 립스틱 등 작은 소비재를 구매한 뒤 소비자들이 더 큰 만족을 느끼는 현상을 뜻한다.
'스몰 럭셔리' 트렌드가 이어지면서 고가의 헤어 제품 역시 주목받고 있다. '샴푸계 샤넬'이라 불리는 헤어 전문브랜드 '오리베(Oribe)'는 매출이 눈에 띄게 증가해 갤러리아 압구정점에서 첫 단독 팝업 매장을 열기도 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에 따르면 오리베의 지난 4년간 매출은 360% 신장했고, 같은 기간 온라인 매출은 1036% 급증했다. '오리베'의 대표 제품인 '골드 러스트 샴푸'는 한 병에 20만원대(1000mL 기준)에 달한다.
또 와인과 위스키 시장도 '스몰 럭셔리' 트렌드의 영향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당초 와인과 위스키는 고급술이라는 이미지가 강했으나, 코로나19 이후 '홈술(집에서 마시는 술)', '혼술(혼자 마시는 술)' 문화가 확산하면서 인기가 높아졌다.
전문가는 '욜로' 등 과시형 소비 트렌드가 시들해진 이유가 불확실한 미래와 연관 있다고 분석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몇 년 전만 해도 현재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유행이었기에 '욜로', '플렉스'라는 단어가 생겨났다"며 "그러나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 현상이 지속되면서 현재만 생각하고 큰 소비를 하기에는 불안해진 것"이라고 말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