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주차장서 14시간 버틴 생존자 "아이들 때문에 포기 안 했다"
수정 2022.09.07 08:10입력 2022.09.07 08:10
실종 14시간 만에 구조
병원 이송 중 아내에 심경 밝혀
6일 저녁 태풍 '힌남노'의 폭우로 잠긴 경북 포항시 남구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소방·군 관계자들이 실종된 주민을 구조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아시아경제 김정완 기자]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침수된 경북 포항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실종된 지 14시간 만에 구조된 남성이 "포기하고 싶을 때도 있었는데, 아이들 때문에 포기할 수가 없었다"고 심경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6일 연합뉴스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포항시 남구 인덕동의 침수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실종 14시간여 만에 생존 상태로 구조된 주민 전씨(39)는 병원으로 가는 119구급차 안에서 그의 아내에게 이 같은 고립 당시 심경을 밝혔다.
아내와의 대화 형식으로 전달된 전씨의 이야기에 따르면 전씨는 지하 주차장에 갔으나, 바닥에 들어찬 물로 인해 자동차 문을 열지 못했다고 밝혔다. 아내는 119구급차 안에서 남편에게 "순식간에 물이 차 들어왔어?"라고 "차 안 탄 게 진짜 다행이다"이라고 안도감을 표하기도 했다.
6일 저녁 태풍 '힌남노'의 폭우로 잠긴 경북 포항시 남구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소방·군 관계자들이 실종된 주민을 구조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생존자 전씨는 물속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옷을 벗고 에어포켓으로 추정되는 공간에 서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아내는 전했다. 그러면서 "우리 신랑이 있는 쪽에는 어디 숨 쉴 수 있는 그런 곳이 있었나 봐요"라고 전했다.
한편 구조대는 이날 오후 8시15분께 사고가 발생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배수 작업을 하던 중 지하주차장 오수관을 붙잡고 있는 전씨를 발견해 구조했다고 밝혔다. 전씨가 주차장 입구까지 헤엄을 치며 나오는 모습을 보이자 구조대가 밧줄을 묶고 들어가 구조했다고 목격자는 전했다.
한편 태풍 힌남노 영향으로 침수된 경북 포항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차를 빼러 갔다가 실종 신고된 주민 등 8명이 발견됐다. 7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6일 오후 8시15분부터 이날 0시35분 사이 발견된 8명 가운데 39세 남성 전씨와 52세 여성 A씨는 생존한 상태로 병원으로 이송됐다. 그러나 65세 여성 1명과 68세 남성 1명, 신원 미상의 50대 남녀 각 1명, 20대 남성 1명, 10대 남성 1명 등 6명은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다.
김정완 기자 kjw1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미운털 박힌 日…동방2022 훈련은 '문제아' 일본 겨냥한 것
수정 2022.09.07 14:08입력 2022.09.07 13:44
중국 관영 "美 추종 기회주의적 일본 외교 대가 치를 것"
日 홋카이도 인근 해상 중ㆍ러 군사 훈련의 핵심은 '반격'
[아시아경제 조영신 선임기자] 중국 관영 환구시보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보스토크(동방) 2022' 연합 군사 훈련 참관을 보도하면서 일본의 기회주의적 외교를 맹비난했다.
사진=환구시보 캡처환구시보는 7일 '지역 트러블 메이커를 저지하기 위해 중ㆍ러 평화 수호 훈련을 실시한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일본이 미국을 맹목적으로 추종, 러시아 제재에 나서고 있으며 일본은 그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일본은 자신들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쿠릴열도 인근에서 실시된 동방 2022 연합 군사 훈련에 항의했지만 중국과 러시아 등 연합군은 훈련을 그대로 진행했다고 환구시보는 전했다.
또 일본은 미국의 러시아와 중국 견제에 도움을 주고 있다면서 중국은 러시아와 함께 대만해협과 쿠릴열도에서 잠재적 위험을 막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마츠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은 홋카이도 주변 해상에서의 군사훈련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도 매우 부적절하고 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라며 외교 경로를 통해 항의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추이헝 화둥사범대 러시아 연구센터 연구원은 "러시아와 일본의 긴장은 미국을 따라 일본이 러시아 제재에 나서면서 본격화됐다"면서 "모스크바 입장에서 보면 도쿄는 워싱턴 편에 섰기 때문에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은 더욱 강경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러시아는 쿠릴 열도 등 주권 분쟁에 대해 어떠한 타협도 하지 않을 것이며, 일본 주변 해상에서의 러시아 군사 활동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구시보는 일본은 영토 분쟁(쿠릴열도)에서 미국이 지렛대가 될 것으로 판단, 러시아 제재에 적극 나섰지만 이는 오판이라며 일본은 항상 기회주의적 외교를 펴 왔다고 일본의 외교전략을 평가절하했다.
환구시보는 러시아와 쿠릴열도를 언급하며 일본을 압박했지만 이면에는 대만,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빗댄 것으로 보인다.
이 매체는 동방 2022 연합 훈련은 제3자를 겨냥하지 않는 통상적인 군사 훈련이라고 강조하면서도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진행된 이번 훈련의 핵심 주제가 '반격'이라는 점을 언급했다. 이번 해상 훈련이 일본을 겨냥한 것임을 재차 확인했다. 환구시보는 그러면서 일본이 중국의 내정인 대만 문제에 개입하면 중국은 러시아와 협력, 지역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를 저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영신 선임기자 asc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美 "러, 北 탄약 수백만발 수입 추진…대러제재로 무기공급망 질식"
수정 2023.03.08 21:29입력 2022.09.07 09:44
"기초적 탄약 생산도 어려운 상태" 지적
"연말부터 포병 공격횟수 줄여야할수도"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대규모로 탄약 수입을 추진 중이라며 대러 제재로 러시아의 무기 공급망이 위태로운 상태라고 미국 정부가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선 고착화로 탄약 재고가 바닥을 보이는 가운데 전략 자원까지 수입이 어려워지면서 기초적인 탄약 생산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우크라이나군이 주요 전선에서 대대적인 반격을 개시한 가운데 러시아가 연말까지 무기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전황은 급속히 우크라이나 쪽으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6일(현지시간)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언론브리핑에서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탄약 구매과정에 있다는 징후가 포착됐으며, 로켓과 포탄 등 수백만 발 규모의 탄약 구매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다만 실제 구매가 이뤄졌다는 징후는 아직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전날 뉴욕타임스(NYT)가 미 정보당국이 기밀해제 후 공개한 정보를 인용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선에 투입하고자 북한으로부터 탄약을 구매하려 한다고 보도한 바 있는데 이를 백악관이 공식 확인한 것이다. 미 당국은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수입하고자 하는 정확한 무기 종류 및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탄약 구매에 나선 것은 미국과 유럽의 대러제재가 러시아의 군사 공급망을 크게 압박한 성과라고 자찬했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우리는 러시아의 군 공급망을 질식시키고 있다"며 "러시아는 군사장비를 북한, 이란에 의존해야 할 지경"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주로 보유한 무기와 탄약이 단순하고 구식임을 고려하면 러시아의 전략자원 부족 문제가 예상보다 심각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미국전쟁연구소(ISW)의 러시아 전문가인 메이슨 클라크는 NYT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 정부도 앞으로 북한에서 뭐든지 수입해야만 한다는 현실에 긴장하고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러시아는 앞서 지난달 이란으로부터 무인기(드론)를 대량 수입했다고 밝혔으며, 이때부터 서방 정보당국을 중심으로 러시아군이 무기 공급망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 시작했다. CNN에 따르면 이란제 드론은 불량률이 높은 것으로 악명이 높아 중동의 친이란 반군세력들을 제외하면 정식으로 대량 수입된 적이 없다.
일각에서는 우크라이나의 대대적인 반격이 시작된 가운데 러시아가 무기 공급망 문제를 조기에 해소하지 못하면 전황이 크게 달라질 것이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러시아 군사전문가인 파벨 루진은 러시아 독립 언론매체인 인사이더와의 인터뷰에서 "연말까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강도가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러시아군은 포탄 부족에 직면해 주력군인 포병의 공격 횟수를 줄여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