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에 없던 역대급 태풍 '힌남노'…대응요령 이렇게 따라하세요

수정 2022.09.04 13:24입력 2022.09.04 13:24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 태풍 행동요령
간판·지붕 결박하고 창문은 테이프로 고정해
욕실에 물 받고 정전 때는 양초보다 랜턴써야

물 빠져나갈 땐 오염된 경우 많아 접촉 최소화
주택 침수됐다면 가스·전기차단기 확인이 중요
파손된 사유시설 보수 시 미리 사진 찍어둬야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매우 강력한 세력을 유지한 채 북상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자연재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책이 주목받고 있다.


4일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의 자연재난 행동요령에 따르면 태풍예보가 발령되면 우선 태풍의 진로 및 도달 시간을 파악하고 대피할지를 생각해야 한다. TV나 라디오, 스마트폰 등으로 기상상황을 파악하고 재난정보를 주변 사람과 공유한다.


만약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 있다면 야영이나 물놀이는 멈추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신속히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 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 등도 안전한 장소로 옮겨야 한다.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미리 결박하고, 창문은 창틀에 단단하게 테이프 등으로 고정할 필요가 있다. 하천이나 해변,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 주차해야 한다. 가정에서는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어야 한다.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 주차장, 건물 등은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이용하여 침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준비하면 좋다.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응급 용품은 미리 배낭 등에 넣어두고, 상수도 공급 중단을 대비해 욕실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둔다. 정전에 대비하여 비상용 랜턴,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다. 긴급 상황에 따른 정보 수신을 위해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하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의 연락처를 알아둬야 한다.


태풍 상륙 기간 약속된 일정이 있다면 취소하거나 조정하여 외출을 자제하는 게 바람직하다. 고령자와 어린이, 장애인 등은 특히 외출을 자제하고 수시로 전화로 안부를 확인해야 한다.


태풍이 시작됐다면 내가 있는 지역의 상황을 지속해서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차량은 속도를 줄여 운행하고, 강가, 해안가 등 급류에 휩쓸릴 수 있는 지역이나 침수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침수된 도로, 지하차도, 교량 등에서는 차량의 통행을 엄격히 금지해야 한다.


건물의 출입문과 창문은 닫아서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창문이나 유리문에서 되도록 떨어져 있어야 한다. 강풍으로 피해를 보지 않도록 가급적 욕실과 같이 창문이 없는 방이나 집안의 제일 안쪽에 머무는 게 좋다. 가스 누출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리 차단하고, 감전 위험이 있는 집 안팎의 전기시설은 위험하므로 만지지 말아야 한다. 정전이 발생했을 때는 양초 사용을 자제하고 휴대용 랜턴이나 휴대전화 등을 이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태풍이 끝나도 2차 피해를 조심해야 한다. 물이 빠져나가고 있을 때는 기름이나 동물 주검 등 오염된 경우가 많으므로 물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수돗물이나 저장되었던 식수는 오염 여부를 확인한 후에 사용하고, 침수된 음식이나 재료는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므로 섭취해선 안 된다. 집이 침수됐다면 우선 가스와 전기차단기가 내려가 있는지 확인하고, 한국가스안전공사(1544-4500)와 한국전기안전공사(1588-7500) 또는 전문가의 안전 점검 후에 이용해야 한다. 또 가스누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창문을 열고 충분히 환기해야 하며, 성냥불이나 라이터는 사용해선 안 된다.


파손된 시설물(주택·상하수도·축대·도로 등)은 가까운 시·군·구청이나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신고하면 된다. 이때 파손된 사유시설을 보수 또는 복구할 때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야 한다. 침수된 도로나 교량은 파손위험이 있어 건너지 말아야 한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76년 전 맡긴 100억원 찾으러 갔더니…은행 "못 준다" 이유는?
수정 2022.09.04 00:35입력 2022.09.04 00:35
A씨는 부친이 1946년 조흥은행에 일본 돈 1만2220엔을 맡긴 후 발급받은 현금보관증을 40년간 보관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황수미 기자] 100억원 가치로 추정되는 현금을 찾지 못해 당국에 도움을 호소하는 한 가족의 사연이 전해졌다.


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상북도 예천군에 사는 70대 A씨는 부친이 1946년 발급받은 현금보관증을 40년간 보관 중이다. 현금보관증은 잠시 타인에게 돈을 맡기게 될 경우 이를 증명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로 알려졌다.


A씨 부친은 1910년 일본으로 건너가 막노동을 하며 돈을 모은 뒤 1945년 해방과 동시에 귀국했다고 한다. 당시 거액의 일본 돈을 집안에 보관해두기 어려웠던 그는 조흥은행 예천군 지점을 찾아 돈을 맡기고 현금보관증을 받았다. 조흥은행은 194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했으며, 현재 통합 신한은행의 존속 법인 형태로 남아 있다.


이후 A씨 부친은 맡겨둔 돈을 찾기 위해 현금보관증을 들고 조흥은행에 다시 방문했다. 하지만 한국전쟁이 터져 많은 자료가 유실된 데다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진 탓에 은행에서는 출금을 미뤘다고 한다.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에는 경제개발이 가속하며 많은 외화자금이 필요했던 영향으로 엔화의 출금이 어려웠다고 한다.

결국 A씨 부친은 돈을 찾지 못하고 사망했다. 이후 1982년 A씨의 딸이 창고에 보관돼있던 현금보관증을 발견한 뒤로 다시 돈을 찾기 위한 가족들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이 보관증에는 1946년 3월5일 은행의 지점장이 A씨 부친의 일본 돈 1만2220엔을 받아 보관함을 증명한다고 적혀 있다. 또한 부친의 사인과 조흥은행 직인이 찍혀 있으며, 다른 사람이 소유권을 침해할 수 없다고도 쓰여 있다.


부친이 맡긴 돈의 가치는 정확히 산정하기 어렵지만, 당시 환율과 물가 상승 등을 고려할 때 현재 가치로 40억~70억원으로 평가된다. 또 76년간의 은행 이자까지 합하면 100억원을 훌쩍 넘길 것으로 추산된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A씨 측은 최근 금융감독원과 신한은행 등에 민원을 내며 돈을 찾는 데 힘쓰고 있다. 하지만 은행 측은 출금을 도와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과거 자료들이 대부분 사라진 탓에 현금보관증의 진위를 확인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A씨 측은 "정부가 나서서 우리의 억울한 사연을 해결해주길 바란다"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황수미 기자 choko21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비싼 생선 참치, 하루 20t 그냥 버려진다…어민들 "애써 잡았는데" 하소연
수정 2022.09.04 12:59입력 2022.09.04 11:41

동해 수온 상승 참치 어획량 증가
쿼터량 초과로 바다에 버려져
어민들, 대책 마련 호소

영덕 해변에 쌓인 참치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나연 인턴기자] 기후 변화로 수온이 상승하고 해류가 변화해 강원 동해에서는 잘 보이지 않던 고소득 어종인 참치가 최근 다량으로 잡히고 있다.


어획이 증가하고 있으나 법으로 허용된 어획 쿼터량이 턱없이 부족해 애써 잡은 참치 상당량이 그대로 바다에 버려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어획 쿼터 상향 조정과 포획 참치 활용 방안 마련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강원도환동해본부 등에 따르면 난류성 어종인 참치 어획량이 최근 해마다 늘어 2019년 28t, 2020년 31t, 지난해 39t으로 매년 어획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참치는 국제기구인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 협약에 따라 국가별 어획 쿼터량이 정해져 있어 쿼터량을 초과한 참치를 어획할 수 없다.


강원도 쿼터량은 2019년 33t에서 2020년 32t, 2021년 44t, 올해 61t이다. 올해 국내에서 잡을 수 있는 참치량은 870t으로 이중 부산지역 대형선망이 713t, 경북도가 74.4t, 강원도가 61t 등을 배정받았다.


어민들은 매년 늘어나는 어획량에 따라 쿼터량을 더 배정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어민들은 "한 번 잡힌 참치는 대부분 폐사해 해양 오염의 원인이 되고 그물에 걸린 참치를 버리는데 시간, 인력 등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며 "정부가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로부터 더 많은 쿼터량을 배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고 배정받은 물량을 지역별로 골고루 분배해야 한다"고 전했다.


강원도환동해본부 관계자는 "많은 참치가 잡히지만, 해양수산부에서 임의대로 국내 쿼터량을 조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7월28일 경북 영덕군 장사해수욕장에서 죽은 참치 1000여 마리 발견됐다. 이 참치는 영덕 앞바다에서 정치망으로 고기잡이를 하던 어업인들이 버린 것이다.


어업인들은 "어획 쿼터량이 적어 물량 소진 후에는 오히려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하소연하고 있다.




김나연 인턴기자 letter9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동으로 다음기사가 보여집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