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뷔페 한끼 16만원…올들어 두 차례 인상도
수정 2022.05.19 14:40입력 2022.05.19 11:10
호텔 뷔페 가격 연초부터 줄인상
일부 호텔 올들어 두 차례 가격 올려
"식자재값 인상 등이 반영"
가격 키맞추기 지적도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무관.호텔 뷔페 가격이 연초부터 줄인상되고 있다. 일부 호텔은 올해에만 두 차례 가격 인상에 나섰다. 식자재값 인상 등이 반영된 불가피한 조치라는 설명이지만, 엔데믹(감염병 주기적 유행)으로 가뜩이나 많았던 수요가 폭발하는 시점에 맞춘 경쟁 호텔들과의 ‘가격 키맞추기’라는 지적도 나온다.
19일 호텔업계에 따르면 국내 호텔 뷔페 레스토랑 중 최고가에 속하는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 럭셔리 컬렉션 호텔의 ‘콘스탄스’는 지난 1일부터 각각 다르던 성인 1인 기준 저녁 및 주말·공휴일 점심 가격을 16만5000원으로 일괄 인상했다. 많게는 22.2% 인상된 결과다. 평일 점심은 12만5000원에서 14만5000원으로 16.0% 올랐다.
웨스틴조선서울 ‘아리아’는 같은 날 금요일과 주말·공휴일 저녁 가격을 14만5000원에서 15만원으로 3.4% 인상했다. 아리아는 앞서 지난 1월 이미 이 시간대 뷔페 가격을 13만5000원에서 14만5000원으로 7.4% 올린 바 있다. 두 차례 인상으로 올해 인상률은 11.1%가 됐다. 워커힐 호텔앤리조트 ‘더뷔페’ 역시 올들어 두 차례 뷔페 가격 인상에 나섰다. 지난달 1일부터 주말 저녁 기준 13만1000원에서 14만3000원이 됐다. 앞서 연초 12만2000원에서 13만1000원이 된 지 3개월여 만이다. 올해 인상률은 17.2% 수준이다.
아리아와 함께 서울 3대 호텔 뷔페로 불리는 서울신라호텔 ‘더파크뷰’와 롯데호텔서울 ‘라세느’는 연초 일제히 가격 인상에 나선 바 있다. 더파크뷰는 지난 2월 성인 기준 저녁 뷔페 가격을 기존 12만9000원에서 15만5000원으로 20.2% 인상했다. 평일 점심은 11만9000원에서 14만원으로, 주말·공휴일 점심은 12만2000원에서 14만5000원으로 각각 올렸다. 라세느는 지난 1월 주말과 저녁 뷔페 가격을 성인 기준 12만9000원에서 15만원으로 16.3% 올렸다. 점심 가격은 10만5000원에서 13만5000원으로 28.6% 인상했다.
이밖에도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 키친’, 플라자호텔 ‘세븐스퀘어’ 등 서울 시내 주요 호텔 뷔페 대부분이 올들어 가격 인상에 나섰다. ‘63뷔페 파빌리온’ 역시 이달 들어 저녁 가격을 13만원으로 올렸다.
10년 전인 2012년 최대 9만9000원으로 10만원에 육박했던 호텔 뷔페 가격은 이후 연평균 5% 수준 인상됐으나 올해 상승률은 최대 28%(점심 기준)까지 치솟았다. 지속적인 원재료 가격 상승 등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게 호텔 업계의 공통된 입장이다. 가격 인상과 함께 고객 요구에 맞춘 메뉴 개편 등도 이뤄진다는 설명이다.
다만 일부 호텔에서 예년 대비 큰 폭으로 가격을 올리고, 다른 호텔들이 몇 개월 만에 이에 수렴하는 가격으로 또다시 인상에 나서는 모습은 결과적으로 때 맞춘 호텔 뷔페 가격 키맞추기로 비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심각할 때도 호텔 뷔페는 시즌마다 예약을 못할 정도로 인기였다"며 "엔데믹과 성수기가 겹친 수요 폭발 시점에 맞춰 또다시 가격을 올려 상향 평준화시키는 건 소비자 입장에선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테라·루나 붐 조장한 벤처캐피털, 폭락 전 먼저 발뺐다"
수정 2022.05.19 10:41입력 2022.05.19 10:41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한국산 가상화폐 테라USD(UST)와 루나가 성장할 수 있도록 부추겼던 벤처캐피털들이 폭락 사태를 앞두고 수익 실현을 하면서 일반 투자자들이 피해를 고스란히 받게 됐다고 1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NYT는 권도형 테라폼랩스 최고경영자(CEO)가 루나와 테라를 과대평가했고 그들의 실패가 일부 거래자들에 충격을 줬지만 일부 투자 회사들은 미리 현금화 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NYT는 "폭락사태의 고통 대부분은 일반 거래자들이 겪게 됐다"고 전했다.
테라폼랩스에 초기 투자한 헤지펀드 판테라캐피털은 지난해 보유하고 있던 루나의 80% 가량을 서서히 팔아치우면서 초기 투자했던 자금의 10배 가량인 1억7000만달러를 거둬들였다. 폴 베라디타킷 판테라캐피털 투자자는 최근 폭락 사태에 유감을 표하며 "많은 소규모 투자자들이 돈을 잃었고 많은 기관 투자자들도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암호화폐를 중심으로 한 벤처캐피털 핵VC는 지난해 12월 보유하고 있던 루나를 매도했다. 홍콩에 기반을 둔 CMCC글로벌의 창업자 마틴 바우만도 지난 3월 보유하고 있던 루나를 코인당 100달러에 팔았다고 밝혔다. 바우만 창업자는 "기술·규제 모든 측면에서 우려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 벤처캐피털사는 루나 매각에 따른 수익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고 NYT는 전했다.
NYT는 "권 CEO의 부상은 권위있는 금융가들이 엄청나게 투기적인 특성이 있는 금융 상품을 지원해줌으로써 가능했던 것"이라고 분석했다. 테라폼랩스가 사업 초기부터 스테이블코인의 기반이 된 알고리즘 기술 자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지만 유명 벤처캐피털사인 라이트스피드 벤처파트너스, 갤럭시디지털과 같은 투자회사로부터 2018~2021년 사이 2억달러 이상을 투자 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루나가 총 400억달러 이상의 가치로 불어났다는 것이다. 가상화폐 자체로 가치를 인정 받았다기보다 유명 금융가들의 명성에 기대 가치가 확대됐다는 의미다.
마이크 노보그라츠 갤럭시디지털 CEO는 지난 1월 루나를 테마로 한 문신을 자신의 팔에 새겼다고 사진을 트위터에 공개, 이를 적극 지지해주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폭락사태가 발생한 지 일주일이 지난 이날 침묵을 깨고 테라와 루나의 실패를 인정했다. 노보그라츠는 "테라USD는 디지털 세계에서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을 창조하려는 시도였다. 실패한 큰 아이디어였다(It was a big idea that failed)"면서 "(문신이) 벤처투자에는 겸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늘 상기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200만원짜리 구찌·아디다스 콜라보 우산, 방수가 안된다"
수정 2022.05.19 14:39입력 2022.05.19 10:57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명품 브랜드 구찌와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가 협업해 내놓은 200만원 짜리 우산이 중국에서 논란을 빚고 있다.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방수가 되지 않아 빗물이 샌다는 이유에서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 "주의! 이 우산은 방수가 되지 않습니다"라는 글과 해당 우산의 사진이 확산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보도했다. 이 글은 1억4000만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중이다.
해당 우산의 판매 가격은 1만1100위안(약 208만원)에 달한다. 제품은 중국 내에서 우산으로 판매됐지만, 원래 자외선을 피하기 위한 양산 목적으로 사용됐어야 한다는 내용도 확산됐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공동부유' 구호를 시작으로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오고 있다. 보다 광범위하게는 아디다스와 같은 서구 브랜드에 대한 보이콧 바람도 불고 있는 상황이다. 한 웨이보 사용자는 시진핑의 '공동부유' 슬로건을 인용하면서 이 같은 제품은 서민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