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조기숙 "문대통령 '일본처럼 집값 폭락' 할 거라 해…잘못된 신화 학습"

수정 2020.06.29 06:47입력 2020.06.29 06:47

"문 대통령 부동산 인식 정확한지 점검 필요"

조기숙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사진=조 교수 페이스북 캡쳐

[아시아경제 한승곤 기자]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홍보수석을 지낸 조기숙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28일 "문재인 대통령의 부동산 인식이 정확한지 점검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부동산 대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조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슬기로운 전세생활'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요즘 전세가 씨가 말랐다. 하루가 다르게 전셋값이 올라간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조 교수는 "두 해 전 문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와 부동산에 대해 대화할 기회가 있었다"며 "문 대통령이 '일본처럼 우리도 집값이 곧 폭락할 테니 집을 사지 말고 기다리라'고 말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일본 사례를 언급한 것에 대해 "일본 신도시의 몰락을 수도권 집중이 높은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것, 이게 상식적으로 말이 되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이 참모로부터 과거 잘못된 신화를 학습하셨구나, 큰일 나겠다 싶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일본처럼 우리도 곧 집값이 폭락한다던 진보 경제학자들의 주장은 다 뻥이었음을 알게 됐다"고 주장했다.


사진=조 교수 페이스북 캡쳐

조 교수는 "이 정부의 부동산정책 실패의 원인은 전문성 부족에 있다고 믿는다", "참여정부 때 경험이 있으니 현 정부가 들어서면 부동산 투기 같은 건 발을 붙이지 못할 거라고 믿은 저의 어리석음을 탓한다" 고 비판했다.


조 교수는 또 "참여정부 고위공직자 중에는 다주택자가 많았던 기억이 없는데 이 정부에는 다주택자가 많아 충격을 받았다"고도 했다.


이어 "대통령과 국토부 장관이 (집을) 팔라고 해도 팔지 않는 강심장에 놀랐다"며 "대통령 지지도가 높으니 운동권 세력도 과거 보수정당처럼 신이 내린 정당이 됐다고 생각하나 보다"라고 일갈했다.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코로나19 확산-봉쇄 반복 시 올해 세계 GDP 21.8조달러 증발"
수정 2020.06.29 12:31입력 2020.06.29 11:36

美 브루킹스硏, 객원연구원 워릭 매키빈 교수 시나리오별 분석 보고서 게재
올해·내년 각 두차례 코로나19 확산·모두 봉쇄 조치하면 경제 최악 전망
제한적 봉쇄 조치엔 확진자 수 큰 폭 증가
감염자 급증하는 美, 봉쇄 없으면 내년 확진자 800만명될 수도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올해와 내년에 두 차례씩 확산하고 경제활동 등을 전부 봉쇄할 경우 올해 세계 각국의 국내총생산(GDP)이 21조8000억달러(약 2경6223조원)나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현재 코로나19 감염 추세 등을 감안해 올해와 내년을 통틀어 GDP 감소 폭을 12조5000억달러로 예상했지만, 최악의 경우에는 올해에만 이보다 훨씬 큰 규모로 경제적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얘기다. 아직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태가 지속되면서 경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전망은 28일(현지시간) 브루킹스연구소가 최근 홈페이지에 게재한 워릭 매키빈 호주 국립대 교수 등이 작성한 보고서에서 나왔다. 브루킹스연구소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 중인 매키빈 교수는 코로나19가 거시 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여파를 6개의 시나리오로 분석했는데, 내년까지 4차례의 대유행과 봉쇄 조치를 최악의 상황으로 가정한 것이다.


시나리오는 ▲올해와 내년 중 코로나19 확산 횟수와 봉쇄 조치 시행 여부 ▲2021년 이후 재확산 여부 등을 6가지 경우로 나눠 마련됐다. 전 시나리오를 통틀어 올해 세계 실질 GDP는 코로나19 여파로 14조7337억~21조7820억달러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최악의 경제적 타격을 주는 시나리오는 네 번째(표 참고)로, 올해와 내년 중 각 두 차례씩 확산이 발생하고 모두 봉쇄 조치가 이뤄지는 경우다. 그나마 2021년 이후 코로나19 확산이 없다고 봤을 때 올해에만 실질 GDP 기준 21조7820억달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세계은행이 2018년 말 세계 GDP를 85조9308억달러로 집계한 점을 고려하면 25.3%에 해당하는 규모다.







다만 코로나19가 올해는 두 차례, 내년에는 한 차례, 2021년 이후 한 차례 확산한다고 가정하고 봉쇄 조치는 기존에 취한 올해 한 차례에 그치는 다섯 번째 시나리오를 현실적인 안이라고 보면 올해 GDP 감소 폭은 17조2666억달러로 전망됐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누적 GDP 손실은 다섯 번째 시나리오의 경우 35조3600억달러로, 네 번째 시나리오의 25조8226억달러보다 10조달러가량 더 큰 것으로 전망됐다. 단기적으로는 봉쇄 조치가 더 큰 타격을 주고, 장기적으로는 2021년 이후 코로나19 재확산 공포가 경제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주요 국가별로는 최악인 네 번째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미국의 올해 GDP가 코로나19 발생 이전 제시됐던 전망치보다 17.6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은 9.48%, 한국은 8.03%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으며 독일은 15.28%, 브라질은 22.3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현실적인 안인 다섯 번째 시나리오를 적용하더라도 미국과 일본, 독일, 브라질은 모두 10%대 감소 폭을 기록했고 중국은 -7.86%, 한국은 -6.2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고용률은 네번째 시나리오에서 미국은 코로나19 이전 예상치에 비해 20.93%, 중국은 5.95%, 독일은 16.52% 각각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 5.65%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맥키빈 교수는 보고서에서 시나리오별 감염자와 사망자수 전망치도 제시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강력한 봉쇄 조치가 더욱 큰 타격을 미쳤지만, 감염 규모에서는 반대 현상이 나타났다. 강력한 봉쇄를 가정한 네번째 시나리오에서는 미국의 올해 확진자 수가 240만명, 내년에 120만명으로 예상됐다. 반면 올해와 내년 중 단 한차례 봉쇄 조치만 취한 다섯번째 시나리오에서는 확진자가 올해 560만명, 내년 800만명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미국의 확진자 수는 이미 254만명을 넘어섰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경제활동을 유지하겠다는 의지가 커 봉쇄 조치를 다시 취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다섯번째 시나리오대로 확진자 수가 급등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보고서를 쓴 맥키빈 교수는 "코로나19 재확산에 대해 봉쇄 조치를 취하는 것이 옳은가, 사람들이 장기간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야하는가 하는 질문은 아직까지 답을 찾지 못했다"면서 "지금의 핵심은 엄청난 경제 충격과 함께 어떻게 경제를 여느냐와 경제가 코로나19 이후 어떻게 세계에 적응할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차원의 제도적 설계는 성공의 핵심"이라면서 "국가 차원에서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해야 하지만, 예측 가능한 부분에 있어서는 국가간에 더 큰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포토] 강하빈 "행복한 하루 보낼게요"
수정 2020.06.29 08:30입력 2020.06.29 08:30
강하빈 인스타그램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레이싱모델 강하빈이 몸매를 자랑했다.


최근 강하빈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 ???? ?????????. ????????????? ????????????"라는 글과 함께 사진 한 장을 게재했다.


공개된 사진 속 강하빈은 카메라를 응시하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특히 강하빈의 글매러스한 몸매가 시선을 잡는다.


한편 강하빈은 150번째 발간을 맞이한 2015년 맥심 11월호 표지 모델이 되었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동으로 다음기사가 보여집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