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제이슈+]대서양 동맹 흔드는 'F-16'…美 지원 반대 이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러 방공망 뚫기 어려워…美 지원에 회의적
전투기 지원 이후 더 많은 병참수송 문제 우려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우크라이나에 대한 F-16 전투기 지원문제를 놓고 미국과 유럽국가들간 의견이 엇갈리면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가 미국과 독일로부터 최신예 탱크 지원을 받아낸 이후 전투기 지원을 받아내고자 외교전에 나선 가운데 미국정부가 F-16 지원에 부정적 입장을 내비치면서 대서양 동맹국간 외교 갈등이 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요.


미국과 영국 등 F-16 전투기 지원에 반대하는 국가들은 지원시 전쟁이 더욱 격화되고, 러시아의 촘촘한 방공망을 고려할 때 실효성이 적다는 것을 표면상 이유로 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전투기 지원시 발생하는 미사일, 연료 등 눈덩이처럼 커질 보급지원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국제이슈+]대서양 동맹 흔드는 'F-16'…美 지원 반대 이유 폴란드 공군이 운용하고 있는 F-16 전투기의 모습.[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美·英 "실효성 적어" 명확한 지원반대 의사

4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고위관리들이 미국과 유럽 국가들에서 F-16 지원을 요구하는 공개적인 로비를 강화하며 지원 여론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계속 단호하게 지원을 반대하고 있는데요. 앞서 지난달 3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직접 F-16 지원과 관련해 "지원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후 지원계획이 아예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측은 포기하지 않고 있습니다. 올렉시 레즈니코프 우크라이나 국방장관은 지난 1일 미국 NPR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오늘 불가능한 것도 내일은 절대적으로 가능하다"며 반드시 지원을 받아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미국 정부는 M-1 에이브럼스 탱크 지원이 절대로 안된다고 했다가 입장을 바꿔 지원한 것을 빗댄 표현으로 해석되고 있죠.


프랑스와 네덜란드 등 국가에서는 지원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F-16 지원이 공식 요청이 들어오면 막을 이유는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미국과 영국에서는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데요. 양국 군사전문가들도 F-16을 지원해도 생각보다 실효성이 크지 않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미국전쟁연구소(ISW)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현재 점령지에 S-300과 S-400 대공방어체계를 곳곳에 설치한 상태입니다. 이 방공망은 F-16 전투기로는 뚫을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죠. 오히려 무턱대고 공격했다가 격추되기 쉽다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입니다.


[국제이슈+]대서양 동맹 흔드는 'F-16'…美 지원 반대 이유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우크라 F-16 지렛대로 장거리 대공미사일 지원 이끌어내려 해"

그럼에도 우크라이나가 F-16 지원을 강하게 요청하는 것은 전투기 지원을 지렛대로 삼아 실질적으로 가장 필요하다고 알려진 장거리 대공미사일 지원을 받으려 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CNN은 국방부 및 백악관 고위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우크라이나가 요구하는 지원 우선 순위목록에서 실제로 전투기는 높은 순위를 차지하지 않고 있다"며 "오히려 우크라이나는 장거리 미사일을 지원해주길 바라고 있으며, 더 많은 탄약과 대공방어 미사일도 원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장거리 대공미사일이 러시아의 공습을 막기 위한 것이라 요구하고 있지만, 실제 지원이 이뤄질 경우 러시아 본토의 미사일기지에 대한 공격을 감행할 우려가 큰 상황입니다. 미국 입장에서는 이것은 러시아와의 확전을 의미하기 때문에 지원을 꺼린다는 것이죠.



전투기 자체가 지원될 경우 발생하는 막대한 보급지원 문제도 풀기 어려운 숙제입니다. 전투기가 보급되면 이를 훈련할 교관 파견, 연료, 탄약, 미사일 등의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우크라이나까지 연결되는 모든 군수지원 체계를 바꿔야하기 때문인데요. 이로인해 미국에서 더 이상의 지원 강화를 원치 않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국가들 간에도 이견충돌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