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반도체 자립화' 속도내는 美정부…국내 업계는 전전긍긍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반도체 자립화' 속도내는 美정부…국내 업계는 전전긍긍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 백악관에서 반도체 공급망 구축에 관한 행정명령 서명에 앞서 반도체 칩을 들고 명령의 취지를 언급하고 있다.(워싱턴 EPA=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김흥순 기자]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들이 세계적인 공급 부족 사태에 직면한 반도체 산업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자립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급해진 국내 반도체 업계도 인재 육성과 인센티브 확대 등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요구하고 나섰다.


"반도체 시장 경쟁우위 확보"
美 바이든 정부 지원책 본격화

10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미국 연방 의회는 반도체 제조시설 투자 지원과 기초 연구개발(R&D) 등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6월 반도체 제조 인센티브 법안을 제정했다. 7월에는 미국 파운드리(위탁생산) 법안을 만들었고 올해 1월에는 증가하는 반도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국 내 칩 제조와 반도체 연구 투자에 대한 연방 인센티브를 요구하는 내용이 담긴 법안도 제정했다. 이로써 미국은 반도체 분야 리더십을 강화하고 경제 재건과 일자리 창출, 반도체 공급망의 탄력화 등을 기대하고 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면서는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기술 산업 육성책을 추진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반도체 부품 생산에 요구되는 연구개발과 제조 능력, 공급망 확보를 위한 투자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또 제조업 전반에 걸쳐 미국산 제품과 기술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로 자국보호정책을 수호하기 위해 리쇼어링(제조업의 본국 회귀)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미 백악관은 오는 12일(현지시간) 화상으로 반도체와 공급망 복원에 대한 화상 최고경영자(CEO) 서밋을 주재할 예정인데 이 자리도 반도체 자립화를 위한 움직임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서밋에는 메모리반도체 세계 1위인 삼성전자와 파운드리 시장 1위인 대만 TSMC를 비롯해 반도체, 자동차, 테크기업 19개사가 참석할 예정이다.


미국뿐 아니라 중국도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 70%까지 높이겠다는 계획 아래 정부 주도로 170조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유럽연합(EU)도 반도체 자립 필요성이 커지면서 67조원 이상의 반도체 제조기술 발전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등 세계 각국이 강력한 반도체 인센티브 정책을 펼치고 있다.


'반도체 자립화' 속도내는 美정부…국내 업계는 전전긍긍


국내 반도체 업계 "인력 양성·제조 인센티브·통상지원 절실"
"특별법 제정" 정부에 요청

한국반도체산업협회도 9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열린 간담회에서 ▲제조시설 구축을 위한 세액공제 인센티브 확대 ▲우수한 인재 양성·공급 ▲국내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맞춘 통상 지원 등 크게 네 가지를 정부에 요청했다. 반도체 자립화가 국가 간 패권 경쟁으로 번진 상황에서 글로벌 기업들과 생존 싸움을 벌여야 하는 국내 반도체 업계도 구체적인 정부 지원책을 요청한 것이다.


가장 많은 논의가 이뤄진 부분은 인재 육성이다. 반도체협회는 건의문을 통해 수도권대학의 반도체 관련 학과 신설과 정원 확대, 반도체 관련 컴퓨터·소프트웨어(SW)학과 신설·증원 등 이공계 인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연구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 석·박사 과정 인재를 대상으로 하는 '원천기술개발형 인력양성사업'을 속히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중소 반도체 기업의 인력 부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실무교육을 전문으로 한 '반도체 인력아카데미' 설립도 대안으로 거론됐다.


이 밖에 연구개발(R&D)과 제조시설 투자 비용의 50%까지 세액공제를 확대하는 인센티브 방안과 국내 반도체 기업이 안정적인 경영 활동에 매진할 수 있는 국제통상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더불어 반도체 산업이 범정부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하는 사안인 데다 국내가 아닌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이라는 점을 감안해 정책의 속도와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한 반도체 전문가는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을 비롯한 각국의 반도체 자립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이는 국내 반도체 기업들과 소재·부품·장비기업에 장기적으로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며 "기술 부문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술 기반을 계속 다지면서 소재와 장비 부문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국내 반도체 기업과 '소부장' 기업들은 수요처 다변화 전략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KOTRA는 "반도체 수요 기업과 제조기업 간 새로운 협력 채널을 발굴하고 핵심기술을 확보해 반도체 생산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선제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