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26년 전국 7곳에 '도로 위 지하철' BRT 달린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2026년 전국 7곳에 '도로 위 지하철' BRT 달린다 세종시 간선급행버스(BRT)
AD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2026년까지 전국 7곳에 '도로 위 지하철' 간선급행버스체계(BRT)가 구축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인천, 경기 부천·성남시 등 수도권을 비롯하여 부산, 세종, 대전, 경남 창원시 등 전국 7개 주요 도시에 BRT를 구축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BRT는 버스 운행에 철도시스템의 특장점을 도입해 통행속도, 정시성, 수송능력 등 버스 서비스를 도시철도 수준으로 대폭 향상시킨 대중교통시스템이다. 전용주행로, 전용교차로, 정류소 등 체계적인 시설과 전용차량을 갖추고 운영한다. 현재 세종, 부산에서 운영 중에 있고, 인천에서도 시범운영 중이다.


대광위는 지난해 1월 BRT 구축을 통한 대중교통시스템 확대를 위해 각 지자체로부터 슈퍼-BRT(S-BRT) 사업 신청을 받았다. S-BRT는 최고급형 BRT로 지하철 수준의 속도 및 정시성을 갖춘 BRT다. 대광위는 인천계양~부천대장, 인천, 경기 성남시, 경남 창원시 BRT 및 세종 BRT 등 5개 사업을 S-BRT 시범사업으로 선정했고, 부산에서 2개, 대전에서 1개의 BRT 사업을 각각 추진하고 있다.


2026년 전국 7곳에 '도로 위 지하철' BRT 달린다 인천계양-부천대장 S-BRT 노선안 (제공=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3기 신도시 교통대책의 일환인 인천계양-부천대장 S-BRT는 부천종합운동장~대장지구~계양지구~김포공항역까지 16.7㎞ 구간에 구축된다. 이 노선은 2026년 3기 신도시 입주계획에 맞추어 개통한다.


인천과 경기 성남시에도 S-BRT가 구축된다. 인천은 인하대~루원시티사거리 9.4㎞ 구간이 대상으로 올해부터 2022년까지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업추진절차를 거쳐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한다. 성남시는 남한산성~단대오거리~모란역사거리~복정역사거리까지 총 10.2㎞ 구간이다. 이 중 단대오거리~모란역사거리 구간 2.8㎞를 우선 공사할 계획으로 올해 이후 개발계획 수립 등 절차를 거쳐 2025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된다.


최근 인구 100만명 이상의 특례시로 지정된 창원시에는 원이대로 일대 가음정사거리~도계광장~육호광장에 이르는 18.0㎞ 구간에 창원 S-BRT가 구축된다. 가음정사거리~도계광장을 잇는 9.3㎞ 구간을 우선 구축해 2023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한다.


세종은 기존 BRT 순환노선 22.9㎞를 고급화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첨단 BRT 정류장 설치, 최대 84인승 전기굴절버스 도입, BRT 우선신호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해 2022년 사업을 마무리한다. 한번에 84명까지 승차가 가능한 대용량 전기굴절버스를 이달 4대 운행개시를 시작으로 다음달 8대를 추가 도입하고, 오는 3월 시험운행 등을 거쳐 운행개시할 계획이다. 또 전기굴절버스 3도어에 맞추어 변경 설치중인 6개소를 포함해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앞 정류장 추가 등 총 34개소에 첨단 BRT 정류장 설치를 완료하고 2022년까지 12개소를 추가 설치한다.


2026년 전국 7곳에 '도로 위 지하철' BRT 달린다 부산 BRT 계획안 (제공=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부산시는 2019년 개통한 기존 BRT(서면~내성, 내성~중동)와 연계해 서면~사상, 서면~충무 2개 BRT 사업이 추진된다. 부산은 기존 BRT 16.3㎞ 구간의 개통 이후 버스의 평균 통행시간이 19%가량 단축되고, 통행속도는 평균 23%가량 빨라지는 등 시민들이 교통 개선효과를 체감하고 있다는 평가다.


부산시 관계자는 "BRT 이용자의 만족도가 72%로 높았으며, 사업 후 도로변 주정차 감소 등으로 통행속도가 동반 상승한 승용차 이용자들의 52.6%가 BRT 개통에 만족감을 나타냈다"며 "이미 개통한 사업에서 경험한 BRT 효과로 인해 현재 설계 중인 서면~사상 5.4㎞와 착공 중인 서면~충무 7.9㎞ 등 2개 BRT 사업도 정상적인 추진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대전에도 반석역~유성복합터미널 6.6㎞ 구간에 BRT 사업이 추진된다. 2022년 개통 예정이다.


추진되는 BRT사업의 사업비는 3기 신도시와 같이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시행하는 BRT(인천계양~부천대장, 세종 BRT)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사업시행자가 부담한다. 서로 다른 광역지자체의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 BRT(성남 BRT)는 국가가 사업비의 50%를 보조하고, 그 외 도심 BRT 중 수도권 지역(인천 BRT)은 25%를, 수도권 외 지역(부산 BRT, 창원 BRT, 대전 BRT)은 국가가 50%를 보조한다.



최기주 국토부 대광위 위원장은 "도시 내 도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승용차와 대중교통시스템인 BRT를 분리하여 BRT 전용주행로를 설치하고 친환경 전기굴절버스 등 고급 교통수단을 제공하면 대중교통 활성화와 함께 환경문제도 해결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며 "수도권을 포함해 전국 주요도시에 지속적으로 BRT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