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마트 국방 ‘안티드론 레이저 무기’ 첫 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스마트 국방 ‘안티드론 레이저 무기’ 첫 선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국방부가 '안티 드론' 무기 확보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창'으로서의 드론이 대두되면서 자연스럽게 드론을 방어하기 위한 군의 '방패'도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21일 오후 육ㆍ해ㆍ공 3군 지휘부가 모여있는 충남 계룡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관으로 열린 '2020년 국방부 업무보고'에서 이러한 추진 계획을 보고하고 안티드론(Anti-drone) 무기인 레이저 대공 무기를 선보였다.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2016년부터 개발한 레이저 대공 무기가 실제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선보인 레이저 대공 무기는 시제품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드론을 잡는 레이저 대공 무기 개발을 진행 중이다. 2023년까지 전력화한다는 계획이다. ADD가 개발하는 기술은 드론을 실질적으로 파괴하는 '하드킬'(Hard kill) 방식이다. 하드킬 방식의 안티 드론 기술인 레이저 대공 무기는 소형 드론을 저비용으로 요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레이저 빔을 표적 취약부에 집중 조사(照射ㆍ겨냥해서 비춤)해 가열한 뒤 표적에 불을 붙인다. ADD는 빔을 조사하는 핵심기술을 확보해 현재 실용화가 가능한 수준까지 연구를 마쳤다. 시스템 설계 능력을 보유한 ADD는 시스템 정교화와 소형화에 매진하면서 무기 체계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하드킬 방식은 드론에 빔을 직접 조사해야 하므로 드론이 보이지 않거나 비가 내리는 등 기상 상황이 좋지 않으면 요격이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정부는 레이저 조사가 아닌 전파 등을 통해 드론을 무력화하는 소프트킬 무기 확보를 위한 절차도 진행 중이다. 대표적인 소프트킬 방식으로는 '재밍'(Jammingㆍ전파교란)이 있다. 재밍은 라디오 통신이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교란해 드론이 원하는 목표로 이동할 수 없게 하는 방식이다. 드론의 조작과 GPS 기능을 무력화한다. 해당 장비는 공군 20전투비행단에서 시범 운용 중이다.


세계 각국은 이미 드론공격에 대비한 시스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 최대 석유기업인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의 주요 석유시설과 유전이 드론의 공격을 받으면서 드론의 군사화가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은 안티 드론 시장이 2018년 4억9900만 달러에서 2024년에는 22억7600만 달러로 커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미 안티드론을 전력화한 국가도 있다. 영국은 이스라엘의 드론방어시스템 '드론 돔(Drone Dome)'을 공항에 설치했다. 프랑스도 영국 에이빌런트(Aveillant)사가 제작한 '게임 키퍼(Game Keeper)'란 드론 탐지 시스템이 설치했다.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은 내년까지 드론 침입방지 시스템을 도입한다. 1~2터미널 반경 3㎞ 이내로 날아드는 드론을 탐지할 수 있다.


각국 공항의 안티드론 시스템으로 방위기업들의 발걸음도 빨라졌다.


미국 록히드마틴사가 지난해 11월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Fort Sill)에 위치한 정부시험장에서 아테나(ATHENAㆍ사진) 레이저 무기체계를 시연했다. 이 무기체계는 다수의 고정익와 회전익 드론을 공격을 막아내 실용성을 증명해보였다. 아테나는 지휘통제체계에서 드론을 발견하면 고출력 레이저를 이용해 드론을 파괴한다. 아테나 체계는 전투원들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 대비 효과가 높다는 것이 미 공군의 설명이다.


국내 방산기업의들 중에는 한화시스템이 있다.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10월 ADEX에서 '드론 전용 감시센서(레이더)'를 전시했다. 드론 전용 감시 센서는 레이더와 주야간 카메라가 장착된 전자 광학 센서를 이용해 3㎞ 안에 있는 드론을 탐지ㆍ추적하는 시스템이다. 1차 탐지ㆍ추적을 담당하는 레이더는 기존 군용 레이더가 제대로 탐지하기 어려웠던 정지에 가까운 초저속 드론까지 탐지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안티드론 무기 확보를 위한 준비는 오래전부터 진행됐다"며 "드론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신개념의 무기 체계 확보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