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배구조 새판짜는 재계 "승계·순환출자 등 묵은 과제 해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현대차, 한화 등 지배구조 개편 본격화 전망
삼성, 한진 등은 상속세 문제 해결 시급

지배구조 새판짜는 재계 "승계·순환출자 등 묵은 과제 해결"
AD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이창환 기자, 우수연 기자, 이동우 기자] SK그룹이 SK텔레콤의 인적 분할을 통한 중간 지주사 전환을 공식화한 가운데 현대차그룹, 한화그룹 등 다른 그룹들도 지배구조 개편 작업에 돌입했다.


경영권 승계와 순환출자 고리 해소, 상속세 문제 등 해묵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주요 그룹들이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화·현대차 경영권 승계 작업 본격화 전망

15일 재계에 따르면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이 7년 만에 복귀하면서 경영권 승계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경영권을 물려받을 김 회장의 장남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을 비롯해 세 아들 모두 경영일선에 있다.


한화 경영승계는 시스템통합(SI) 사업 등을 하는 에이치솔루션이 키를 쥐고 있다. 이 회사는 김 사장이 지분 50%, 차남 김동원 한화생명 전무와 삼남 김동선 한화에너지 상무보가 각각 25%씩 갖고 있다. 에이치솔루션은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갖고 있고, 한화에너지는 한화솔루션과 함께 한화종합화학을 지배하고 있어 사실상 또 다른 지주사 형태를 띠고 있다.


지배구조 새판짜는 재계 "승계·순환출자 등 묵은 과제 해결"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실질적 지주사격인 ㈜한화의 최대 주주는 지분 22.65%를 가진 김 회장이다. 김 사장이 4.44%, 김 전무와 김 상무보가 각각 1.67%를 갖고 있다. 에이치솔루션은 앞서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한화의 주식을 잇따라 사들이며 지분율을 4.2%에서 5.19%로 끌어올렸다.


㈜한화와 한화솔루션간 합병, 에이치솔루션이 ㈜한화의 지분을 추가로 사들인 후 합병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연내를 목표로 추진중인 한화종합화학 기업공개도 에이치솔루션 등 지배기업의 가치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승계과정에서 중요한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다. 에이치솔루션은 한화종합화학 지분 39.16%를 갖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도 비상장 건설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의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면서 사실상 그룹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공식화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연내 코스피 상장을 목표로 IPO를 추진 중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현대엔지니어링의 2대 주주로 지분 11.72%를 보유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의 상장 후 기업가치가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정 회장의 지분 가치는 1조2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업계에서는 정 회장이 현대엔지니어링 상장 후 보유 지분을 매각해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실탄을 확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 회장은 지분 23.29%를 보유한 현대글로비스를 제외하면 핵심 계열사 지분이 많지 않다. 정 회장이 지배구조 정점에 오르려면 지주사 역할을 하는 현대모비스의 지분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현재 정 회장의 현대모비스 지분은 0.32%에 불과하다. 핵심 계열사인 현대차 지분도 2.62%다. 결국 정 회장은 현대엔지니어링 상장으로 확보한 현금으로 현대모비스나 현대차 지분 매입에 나서며 지배구조를 단순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지배구조 새판짜는 재계 "승계·순환출자 등 묵은 과제 해결" 정의선 현대차 회장


삼성·한진 막대한 상속세 문제 해결 나서

막대한 상속세 문제 해결에 나선 그룹들도 있다. 경영권 승계를 마친 삼성의 경우 고(故) 이건희 회장 유산에 대한 상속세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유족들이 내야 할 상속세가 주식 지분만 11조원에 달하는데다 미술품과 부동산, 현금 등 기타자한 상속세가 1조원을 넘어 최대 12조원에 달하는 재원을 단기간에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속세 신고·납부 시한이 이달말로 다가오면서 삼성가는 이 회장 명의의 미술품 중 일부 기증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납부 시한 이전에 기증 여부를 확정하면 미술품들은 상속세 납부 대상에서 제외된다. 유족들은 상속세 납부를 위한 현금 조달 목적으로 지분 매각 또는 은행권 대출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등 자녀들도 2019년 조양호 회장 사망 이후 2700억원 규모의 상속세 재원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지난해부터 연부연납 제도를 활용해 5년간 여섯 차례에 걸쳐 상속세를 납부하기로 하면서 매년 재원 마련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회장은 지난해 한진칼 지분을 담보로 400억원의 현금을 대출하고 지난달 그룹 계열사인 정석기업 지분 3.83%중 0.75%를 팔아 30억원 확보했다.



이명희 정석기업 고문과 조현민 (주)한진 부사장도 정석기업 지분 매각을 통해 각각 270억원, 180억원을 마련한 상태다. 삼남매 가운데 유일하게 그룹 내 직책이 없는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은 600억원 규모의 상속세 마련을 위해 지난달 한진칼 주식 5만5000주를 KCGI 산하 그레이스홀딩스에 장외매각해 약 34억원 확보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