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상장을 앞둔 기업 주식의 일정 지분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코너스톤(초석 투자자)' 제도 재도입에 나선다.
9일 금융당국 안팎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올 1분기 중 코너스톤 투자자 제도 재추진 방침을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상장 직후 단기 차익을 내려는 거래가 몰리면서 주가가 급상승한 뒤 다시 떨어지는 일을 막기 위해서다.
코너스톤 투자자 제도란 대형 기관투자자가 공모 주식 판매 전에 공모가격을 모르는 상태에서 일정 금액을 장기투자하기로 약정하고 그 대가로 공모주 일부를 배정받는 투자계약이다.
국내에서 코너스톤 투자자 제도가 처음 논의된 것은 2017년으로, 제도 도입 시 공모주 장기 투자를 활성화하고 공모가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돼 왔다.
한편 금융당국은 IPO 주관사가 IPO 예정 기업에 미리 투자할 경우 사전 지분취득분에 대한 의무보유 기준을 기존보다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해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