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전기, 내년 전고체전지 양산 목표…유리기판은 2027년 이후"

시계아이콘01분 2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장덕현 사장, 라스베이거스서 간담회
"멕시코 대체부지 찾는 중"
"'IT 플랫폼 2.0' 시대 열려
미래 성장 기회 놓치지 않겠다"

삼성전기가 올해 고체 산화물 전해질 기반의 웨어러블용 전고체 전지의 양산 설비에 투자해 시제품을 공급한다. 양산은 내년부터다.


반도체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는 유리 기판은 오는 2027년 이후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기, 내년 전고체전지 양산 목표…유리기판은 2027년 이후" 삼성전기 전고체전지. 사진=삼성전기 제공
AD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이사 사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앙코르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신사업 계획을 밝혔다.


장 사장은 "전고체 전지의 경우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밀도와 용량 특성을 확보했다"며 "세상에 없는 기술이기 때문에 양산하기 전에는 모르지만, 내부적으로 테스트를 많이 하고 있고 고객과 얘기 중"이라고 말했다.


삼성전기가 개발하고 있는 전고체 전지는 재료의 안정성이 높은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산화물계)을 사용해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 웨어러블 기기 등 소형 IT 기기에서 리튬 전지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기, 내년 전고체전지 양산 목표…유리기판은 2027년 이후" 삼성전기 Glass 기판. 사진=삼성전기 제공

유리 기판은 세종사업장에 파일럿 라인을 구축한 데 이어 올해 고객사 샘플 프로모션을 통해 2027년 이후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장 사장은 "특정 고객을 언급할 수는 없지만 여러 고객과 협의 중"이라며 "올해 2∼3개 고객에 대해서는 샘플링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성전기는 지난해 고객사에 실리콘 캐패시터 샘플 공급을 시작했으며 올해 고성능 반도체 패키지용과 AI서버용 실리콘 캐패시터를 양산하려 하고 있다. 실리콘 캐패시터는 실리콘 웨이퍼를 활용해 만들어지는 캐패시터로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고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어 고속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


장 사장은 "올해 2개 정도 고객을 잡았다"며 "올해 양산하고 1∼2년 내로 1000억원 이상의 의미있는 매출을 내보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신성장 동력인 전장 카메라 시장에서는 하이브리드 렌즈로 차별화했다"며 올해부터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SVM),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용 하이브리드 렌즈를 대량 생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삼성전기는 올해까지 그린수소 생산의 핵심 기술인 SOEC셀(Cell) 기술을 확보할 예정이며 내년에는 셀을 쌓아 올린 스택(Stack)을 개발한 뒤 2027년 이후 양산할 계획이다.


당초 멕시코에 전장용 카메라 모듈 생산공장을 짓기로 했던 삼성전기는 현재 속도 조절(슬로우 다운)에 들어간 상태다.


장 사장은 "아직 클리어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서 멕시코 공장은 홀드시키고 제3의 위치를 찾고 있다"며 "공급망 이슈가 굉장히 중요한데 여러 고객을 상대할 수 있는 곳으로 다변화해서 유연함을 가져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개발에 투자한다고 해서 수익이 나빠지지는 않는다"며 "투자는 신중하게 생각하지만, 연구개발은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장 사장은 "전자 산업은 모바일 중심의 'IT 플랫폼 1.0'을 지나 모빌리티 디바이스가 주도하는 'IT 플랫폼 2.0' 시대가 열렸다"며 "전장, 로봇, 인공지능(AI)·서버, 전장, 에너지 분야의 신사업을 성공적으로 전개해 미래 성장 기회를 놓치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 "미래 산업의 기술 실현은 반드시 부품·소재가 기반이 돼야 가능하며 이 분야 핵심 기술을 보유한 삼성전기에는 새로운 성장 기회"라고 강조했다.



장 사장은 앞서 지난해 CES에서 전장과 로봇, AI·서버, 에너지 등 4개 분야의 앞 글자를 딴 'Mi-RAE'(미-래) 프로젝트에 주력하겠다는 신사업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라스베이거스(미국)=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