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만, CES 2025서 차량용 신제품과 솔루션 선보여

시계아이콘01분 4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차량용 지능'을 주제로 혁신 기술 소개
개인화·안전한 차량 경험 제공
신제품과 서비스 대거 공개

전장(자동차 전기·전자 장비)을 만드는 삼성전자의 자회사, 하만이 7~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차량용 지능'을 주제로 개인화된 차량 경험을 제공하는 지능형 상황 인식 기술과 제품들을 선보였다고 9일 밝혔다.


하만, CES 2025서 차량용 신제품과 솔루션 선보여 삼성전자 하만협력팀장 윤준오 부사장이 CES 2025 하만 프라이빗 전시장에서 차량용 신제품과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AD

특히 자동차용 솔루션인 '레디 제품'이 눈길을 끌었다. 이 솔루션의 포트폴리오 전반에는 생각, 느낌, 음성 기술이 적용돼 개인화되고 안전한 자동차 경험을 제공했다. 아민 프로머스버거 하만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레디 제품에 대해 "운전자와 탑승자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해 최적의 자동차 경험을 제공한다"며 "차량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새로운 지능형 레디 제품을 통해 소비자와 제조사에 차별화된 솔루션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만은 자동차 분야의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해, 개인화되고 안전한 차량 경험을 제공하는 차량용 앱 스토어 '레디 링크 마켓플레이스', 도로와 교통 상황에 대한 지능형 경고를 제공하는 '레디 어웨이', 운전자 보조 시스템과 통합돼 한층 안전한 운전 경험을 제공하는 '레디 업그레이드 ADV2.0' 디지털 콕핏 등을 보였다.


'레디 링크 마켓 플레이스'는 150개 이상의 차량용 앱과 콘텐츠를 제공하며 차 안에서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통합 디지털 상거래 플랫폼이다. 개발자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하만은 마이크로소프트(MS) 등과도 협업했다. 차량용 앱 개발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차량용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생성형 AI와 소형 언어모델(SLM) 기술을 추가했다.


'레디 어웨어'는 운전자에게 안전한 운전을 위한 도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V2N(Vehicle-to-Network) 기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제품이다. 지능형 교통 솔루션을 개발하는 '미오비전'과 힘을 합해 만들어냈다. 레디 어웨어는 디지털 트윈과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통해 도로와 교통 상황을 분석하고 운전자에게 경고를 제공해서 운전자가 교차로와 도로의 위험 요소 등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안전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하만, CES 2025서 차량용 신제품과 솔루션 선보여 하만의 차량용 앱 스토어 '레디 링크 마켓플레이스(Ready Link Marketplace)'를 체험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또한 하만은 자율주행 기술을 선도하는 'HL 클레무브'와도 협업해 운전자의 안전을 지원하는 HL 클레무브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의 소프트웨어?센서와 향상된 차량 경험을 제공하는 하만의 '레디 업그레이드 ADV2.0' 디지털 콕핏을 하나의 중앙 컴퓨터 플랫폼으로 통합한 솔루션도 내놨다.


이어 하만은 새로운 감성 지능 AI 시스템인 '레디 인게이지' 기반의 핸즈프리 아바타 '루나'도 선보였다. 음성과 비주얼을 통해 개인화된 상호 작용을 제공하는 루나는 탑승자와 자동차 솔루션 간의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유대감을 형성한다.


특히 레디 인게이지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레디 케어'와 통합돼 한층 안전하고 편안한 탑승 경험을 제공한다. 가령, 레디 케어를 통해 운전자의 스트레스가 감지되면 루나가 카페로 갈 것인지 묻고 최적화된 경로를 안내한다. 차 안에서 루나는 하만이 지난해 처음 선보인 증강 현실 기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레디 비전 큐뷰'를 통해 시각화된다. 레디 비전 큐뷰도 한단계 기능이 향상돼 5K 해상도의 한층 밝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하만은 차량 내 시청각 경험과 콘텐츠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카오디오 시스템도 소개했다. 각 좌석에 장착된 우퍼와 스피커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하만카돈 앱'도 새롭게 선보였다. 탑승자들은 하만카돈 앱을 통해 각자의 선호에 맞춰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재생 중인 음악을 차량 무드등이나 조명이 탑재된 스피커 등과 실시간 연동해 조명 효과를 제공하는 '오라 라이팅'도 있었다. 이 기능은 하만 레디 케어와도 연동돼 운전자의 상태에 맞춰 자연의 소리를 음악과 함께 재생하는 네이처스케이프나 무드 웨이브, 마사지 등의 기능과 함께 동작한다. 차량의 좌석에 기반을 둔 탑승자 중심의 확장형 오디오 시스템 '시트소닉'은 '이멀시-파이' 다이얼로 개별 조정이 가능해 한층 개인화된 음악 청취 경험을 제공한다.




라스베이거스(미국)=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