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본 “지난해 ‘공익사업’ 18만명 혜택…올해도 사업 지속”

시계아이콘01분 1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우정사업본부의 공익사업이 사회적 소외·취약계층에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이하 우본)는 지난해 ▲우체국 인프라 기반 ▲소외계층 지원 ▲미래세대 육성 ▲지속가능 친환경 등 4개 분야에 13개 공익사업 및 공익보험을 운영해 18만2000여명을 지원했다고 6일 밝혔다.


우본 “지난해 ‘공익사업’ 18만명 혜택…올해도 사업 지속” 우정사업본부. 제공
AD

우선 지난해 복지등기 우편서비스가 가능한 지방자치단체(지역)를 2023년 60곳에서 지난해 86곳으로 늘려 소외계층 발굴 및 지원에 앞장섰다.


이 사업은 집배원이 취약계층 가정에 등기 우편을 배달하면서 생활 여건을 점검하고, 복지지원 대상을 발굴하기 위해 시행한다. 이를 토대로 지난해 발굴한 소외계층 가구는 총 2만2000여가구다. 우본은 이들 가구가 지자체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했다.


또 행정안전부와 함께 고령·고립 가구를 주기적으로 방문해 위험요인을 예방하는 ‘안부 살핌 소포’ 사업을 시범운영(15개 지자체 대상) 하는 등으로 소외계층 지원 사업을 확대했다.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도 병행했다. 보호자가 없는 무의탁 환자 2701명에게 무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고, 우체국 유휴공간에서 운영하는 카페에 발달장애인의 일자리를 마련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우본은 미래세대 지원을 위한 공익사업으로 자립준비청년 246명에게 매월 30만원의 식비를 지원, 자립준비청년이 안정적인 미래 준비를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 홀로서기 할 수 있도록 도왔다. 취약계층 청소년 1257명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장애인 부모 가정의 아동 240명이 대학생 멘토를 통해 문화 체험·생활관리·학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도 지난해 우본이 실시한 공익사업의 일환이다.


공익보험 가입자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것도 지난해 성과로 꼽힌다. 공익보험은 사회안전망 강화를 목적으로 운영된다.


공익보험의 일종인 ‘우체국 대한민국 엄마 보험’은 지난해 임신부의 높은 관심 속에 신규 가입자가 7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된다. 이 보험은 자녀의 희귀질환과 임신부의 임신 질환을 무료로 보장하도록 설계됐다.


취약계층의 상해를 보장하는 ‘만원의 행복보험’도 2만9000여명이 신규 가입했다. 이 외에도 장애인 전용 암보험 ‘어깨동무보험’과 ‘청소년 꿈보험’도 무료 가입 지원을 확대해 지난해만 총 10만여명이 우체국 공익보험 수혜자가 됐다.


우본은 올해도 예산 115억원을 편성해 사회공헌 활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특히 ‘안부 살핌 소포’사업 등 우체국의 인프라를 활용한 지자체 복지 지원을 강화하고,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 발굴 및 지원 확대에 무게를 더할 계획이다.



조해근 우본 본부장은 “우체국은 국민의 사랑과 신뢰로 성장해 온 기관”이라며 “우본은 앞으로도 사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웃을 발굴해 온기를 전할 수 있도록 사회공헌 활동에 진심을 담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