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부처·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101개 기관·총 429개 창업지원사업 포함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31일 총 3조2940억원 규모의 ‘2025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를 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공고에는 101개 기관, 총 429개 창업지원사업이 포함됐다. 전체 예산은 3조2940억원으로 중앙부처는 87개 사업에 3조1190억원을, 지방자치단체는 서울시 등 88개 기관에서 342개 사업에 1750억원을 지원한다.
지원사업 유형별로는 융자가 1조5552억원(12개 사업)으로 가장 높은 비중(47.1%)을 차지하고, 사업화 7666억원(23.3%), 기술개발 6292억원(19.1%) 순으로 많은 예산이 배정됐다. 지원사업 유형은 8개로 융자, 사업화, 연구·개발(R&D), 시설·공간·보육, 글로벌 진출, 멘토링·컨설팅·교육, 행사·네트워크, 인력 등이다.
기관별 현황을 살펴보면 중기부가 2조9499억원(중앙부처의 94.6%)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배정했다. 이어 문화체육관광부(530억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454억원), 환경부(237억원) 등 중앙부처(13개)는 총 3조1190억원(87개 사업)을 지원한다.
통일부와 방위사업청은 내년에 창업지원사업을 신설한다. 방위사업청은 방산혁신클러스터(대전, 구미), 국방기술 창업경진대회 등 3개 사업에 13억원, 통일부는 북한이탈주민 기창업자 경영개선자금 지원사업, 경영컨설팅 지원사업 등 3개 사업에 8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자체(광역 17개·기초 71개)는 서울(382억원), 경기(200억원), 경남(186억원) 등에서 총 1750억원을 투입해 342개 사업을 추진한다.
중기부는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10대 신산업 분야의 유망 창업기업을 선발해 사업화 및 성장을 지원하는 ‘초격차 스타트업1000+ 프로젝트’를 통해 1310억원 규모로 약 669개 사를 지원한다. 또한 혁신기술을 보유한 벤처·스타트업이 대기업의 수요에 맞춰 협업하도록 예산 70억원으로 50개 사 내외를 지원하는 ‘딥테크 밸류업 특화 프로그램’을 새로 만든다.
환경부는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을 통해 예산 230억원으로 녹색산업분야 유망 창업 아이템이 있는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 210개 사를 대상으로 창업자금 지원 및 육성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R&D 쪽에서 중기부는 ‘창업성장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5960억원으로 업력 7년 이하, 연 매출액 20억원 미만인 1050여개 창업기업에 최대 3년간 15억원의 기술개발비를 출연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312억원으로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지원(107억원),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사업(107억원) 등 4개 사업을 통해 대학·연구기관의 연구원이 창업하는 것을 돕는다.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 9개를 중기부는 ‘창업중심대학’으로 지정하고, 예산 775억원으로 (예비)창업기업 약 800개 사를 선정해 사업화 자금을 지원한다.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예산 364억원으로 스타트업과 투자자 간 네트워킹, 투자설명회, 대ㆍ중견기업과의 다양한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활동 등도 돕는다.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세부 내용은 K-Startup 포털과 중기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