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성동구, 출산가정 산후조리비용 지원 확대…거주요건 완화

시계아이콘01분 0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2025년 1월 1일 출산모부터 성동형 산후조리비용 50만 원 지원 요건 관내 6개월 이상에서 3개월 거주로 완화 적용...소득 기준과 상관없이 지원 2024년 한 해 동안 총 1382명 지원 출생아 수 대비 지원율 89% 나타내...거주기간 상관없이 서울시 거주 산모에게 산후조리 경비와 관련한 허용 업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바우처 100만 원 함께 지원

성동구, 출산가정 산후조리비용 지원 확대…거주요건 완화
AD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출산가정의 산후조리에 드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산모 건강의 원활한 회복을 돕기 위해 지원 중인 산후조리비용의 지원 자격 기준을 2025년부터 관내 거주 6개월 이상에서 3개월 이상으로 완화 적용한다고 밝혔다.


구는 2023년 1월부터 관내 모든 출산가정에 소득 기준과 상관없이 산후조리비용 50만 원을 선제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 총 1382명을 지원하여 출생아 수 대비 89%의 높은 지원율을 보이는 등 큰 호응을 얻었다.


이에 더하여 구는 더 많은 산모가 산후조리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내년부터 성동구 6개월 이상 거주에서 3개월 이상 거주로 지원 요건을 완화해 적용한다.


따라서 2025년 1월 1일 출산모부터는 자녀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3개월 이상 성동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고 있으면 산후조리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구는 현금 지원 이외에도 산후조리 경비와 관련한 허용 업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바우처 100만 원을 함께 지원한다.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거주하는 산모의 경우, 거주기간에 대한 별도의 제한 없이 바우처를 신청할 수 있다.


바우처는 ▲ 산모 및 신생아 건강 관리 서비스(산후도우미) ▲ 의약품, 건강식품 구매, 마사지, 요가·필라테스, 체형관리, 산후우울 상담 등 산후조리 관련 업종에서 사용하면 된다.


산후조리비용은 자녀 출산일 60일 이내에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되고, 온라인 신청의 경우, 현금은 정부24에서, 바우처는 ‘서울맘케어’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동주민센터로 방문하면 현금과 바우처 모두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다.


성동구 출산가정 산후조리비용 지원사업과 관련하여 자세한 사항은 성동구보건소 건강관리과로 문의하거나 성동구보건소 누리집 내 출산가정 산후조리비용 지원 안내를 참고하면 된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성동구는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성동형 산후조리비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거주 자격요건을 완화해 더 많은 출산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새 생명의 탄생을 준비하는 관내 가정의 행복한 출산과 양육을 위하여 세심한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