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광주시, 20일 ‘인구정책 포럼’ 연다

시계아이콘00분 4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인구 진단·청년 유출 해법 모색

광주시, 20일 ‘인구정책 포럼’ 연다 광주 ‘인구정책 포럼’ 포스터. 광주시 제공
AD

청년인구 유출과 저출생 가속화 등 인구 감소 위기 속에서 광주의 인구문제를 진단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장이 마련된다.


광주시는 광주연구원과 공동으로 20일 오후 2시 시청 무등홀에서 ‘2024년 광주시 인구정책 포럼’을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포럼 주제는 ‘인구위기 속 지방도시의 미래, 광주의 해법 모색’이다. 광주가 직면한 주요 인구문제를 진단하고, 유관기관과 민간 전문가가 함께 해결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유혜정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인구연구센터장의 ‘광주시 및 지방 대도시의 인구 체력 진단’ 주제 발표를 시작으로, 문연희 광주연구원 연구위원의 ‘광주 인구전략 2.0’ 발표가 진행된다.


패널 토론에서는 최치국 광주연구원장이 좌장을 맡아 광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인구정책을 논의한다. 패널로는 염지선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김윤승 대구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윤희철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장, 박태순 광주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 김용진 광주시 인구정책담당관 등이 참여한다.


광주 인구는 10년 전인 지난 2014년 147만5,884명(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구 감소 원인으로는 저출생 추세와 청년 수도권 유출이 꼽힌다. 광주와 같은 지방 대도시의 경우 일자리·교육·문화 인프라 부족으로 청년의 수도권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시는 이날 포럼에서 제시된 정책적 제언을 ‘제2차 인구정책 5개년 계획’과 같은 장기 전략 마련과 저출생 대응을 포함한 다양한 인구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한편, 광주시는 초등 학부모 10시 출근제, 손자녀 돌보미, 공공심야 어린이병원 등 출산·양육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 교육발전특구·기회발전특구·도심융합특구 등 정부 4대 특구 지정과 AI(인공지능) 중심도시 조성, 미래차국가산단 조성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을 모색 중이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