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전운 높이자" 어르신들부터 MZ까지 은행 '오픈런'[1mm금융톡]

시계아이콘01분 1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금전운 높이자" 어르신들부터 MZ까지 은행 '오픈런'[1mm금융톡]
AD

"2025년 우리은행 탁상용 달력 삽니다."


우리금융지주가 모델 아이유 사진을 넣어 제작한 2025년 새해 달력이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오픈런'에도 달력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로, 급기야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유료로 거래가 되고 있다는 후문이다. 실제로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2000원~1만원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우리금융지주는 모델 아이유와 지난 2022년 광고계약을 체결하며, 2023년부터 3년째 아이유 달력을 제작해오고 있다.


서울 시내 우리은행 한 지점 관계자는 "이달 초부터 배포했고, 현재 지점에 할당된 달력 중 아이유 달력(탁상용)은 모두 소진됐다"며 "현재로서는 아이유 달력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우리은행 앱인 '우리WON뱅킹'에서 1만명에게 무료로 배포하는 이벤트에 참여하는 것뿐"이라고 귀띔했다.


통상 연말이면 새해 달력을 얻으려는 고객들의 은행지점 방문이 끊이질 않는다. '은행 달력을 집에 걸어두면 부자가 된다'는 속설에 달력을 받으러 오는 어르신들부터, 각 은행이 기용한 모델의 팬인 젊은 층까지 가세하면서다. 하지만 은행에서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으로 종이 사용을 줄이면서 달력 제작 규모가 크게 줄었다. 이런 배경으로 연말이면 무료로 얻을 수 있었던 은행 달력이 '귀하신 몸'이 됐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환경을 위해 종이 사용을 줄이려는 움직임도 있지만, 비용 절감 차원도 크다"면서 "내부에서는 달력을 꼭 제작해야 하느냐는 이야기도 나오지만, 최근에는 달력을 왜 주지 않느냐는 민원까지 늘고 달력은 한 번 제작하면 일 년 내내 걸려있기 때문에 홍보 효과도 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상황이 이렇자 은행에서는 자사의 계좌를 가지고 있는 고객들에게 우선 배부하거나,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한정 수량을 이벤트성으로 배포하고 있다.


5대 시중은행 중 모델을 내세워 달력을 제작한 은행은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 두 곳이다. NH농협은행은 모델 고윤정 배우 사진을 넣어 2025년 탁상 달력을 제작했다. 농협금융 플랫폼인 NH올원뱅크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에 참여할 경우 총 2025명을 추첨해 모델 고윤정 배우 탁상달력과 '올리, 원이' 캐릭터 스티커를 제공한다.


이 밖에 KB국민은행은 자사 캐릭터인 스타 프렌즈를 활용한 명화 패러디 그림이 들어간 달력을, 신한은행은 일러스트와 신한 프렌즈 캐릭터가 들어간 달력을 제작했다. 하나은행은 매년 미술작품 위주로 제작하고 있으며, 올해는 장 마리아 작가와 협업한 탁상달력을 선보였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은 신규고객 유입은 어렵지만 한번 유입되면 장기간 거래를 이어가기 때문에 호감도가 높은 모델을 기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특정 상품에만 모델로 활동하거나, 그룹 브랜드 전반에 대해 포괄계약을 하는 등 계약 세부 내용이 다 달라 모든 은행에서 당사가 기용한 모델 달력을 제작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