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집단행동 중대본 회의서 "상황 안정되면 진전시킬 것"
"전공의 복귀 방안 의료계와 협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부의 의료개혁이 추진동력을 잃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2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최근 어려운 상황으로 의료개혁 방안 논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상황이 안정되는 대로 논의를 진전시키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에 참여했던 대한병원협회 등 의료계 단체가 계엄포고령의 '전공의 등 미복귀 의료인 처단'이라는 표현에 반발해 특위 참여를 중단한 가운데, 당초 이달 중 예정했던 비급여와 실손보험 개선 방안 등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이 발표될지 불확실한 상태다. 지난 9일 마감된 레지던트 1년차 모집 지원율도 저조했다.
박 차관은 "올해 상반기 수련병원을 이탈한 많은 전공의가 아직 복귀하지 못하는 상황이 안타깝다"며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차질 없이 운영하면서 전공의 복귀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의료계와 열린 자세로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이날 겨울철 환자 증가에 대비해 응급의료체계 전반도 점검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전날 기준 전국 응급실 414곳 중 410곳이 24시간 운영 중이며, 응급실 병상은 5948개로 의료대란 이전인 평시 대비 98%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응급실에 내원하는 경증·비응급 환자도 줄면서 과밀화도 소폭 완화되는 양상이다. 이달 첫 주 기준 응급실을 내원한 전체 환자 수는 1만3940명으로 평시 대비 78% 수준, 경증·비응급 환자는 5484명으로 평시의 66% 정도였다.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 9일 기준 1611명으로 지난해 12월 1508명보다 100여명 늘었다.
응급실로 들어온 환자가 입원·수술 등 후속 진료를 제때 받을 수 있는지를 점검한 결과, 이달 첫 주 기준 중증·응급질환 진료가 가능한 응급의료센터는 181곳 중 101곳으로, 평시 109곳과 비교해 소폭 감소했다.
박 차관은 "전반적으로 응급의료체계 운영상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응급의료체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현장과 소통하며 지속해서 보완하겠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현재 14곳인 응급의료 거점지역센터를 이달 중 10곳을 추가 지정해 중증·응급환자 진료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는 권역응급센터 등을 대상으로 환자 수용과 배후진료 제공 등 비상진료체계 유지에 기여한 공로를 평가해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또 코로나19 등 경증 환자 진료를 위한 발열클리닉은 100곳 이상, 코로나19 협력병원은 200곳 내외를 재가동해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할 방침이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