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바라 제너럴모터스(GM) 최고경영자(CEO)가 내년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 취임 후 최대 7500달러 규모의 전기차 세액공제가 폐지될 경우 실적에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생산기지가 위치한 멕시코, 캐나다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것 역시 GM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트럼프 2기 출범 후 제조업 진흥정책, 규제 완화 등에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블룸버그통신·악시오스 등에 따르면 바라 CEO는 11일(현지시간)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오토모티브 프레스 행사에 참석해 "7500달러 규모의 세액공제 폐지 시, 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트럼프 정권인수팀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시행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을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대당 최대 7500달러 규모의 세액공제가 폐지될 경우 소비자들의 가격 부담이 커지면서 전기차 판매에 악영향이 예상된다.
북미 시장에서 2035년까지 기존 내연기관차 생산을 중단하고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던 GM으로선 악재인 셈이다. 반면 트럼프 당선인의 측근이자 세계 최대 전기차업체 테슬라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 CEO는 보조금 폐지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그는 대선 캠페인 과정에서도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가 테슬라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며, 의존도가 높은 경쟁사들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바라 CEO는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직후 멕시코, 캐나다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것 역시 생산 비용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GM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GM은 멕시코, 캐나다 공장에서도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다만 규제 완화, 제조업 진흥 정책에 대해서는 기대감을 표했다. 그는 악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공약대로 환경규제를 간소화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말했다. 자율주행차 규제와 관련해서도 연방 차원의 규제가 주별 규제보다 더 나을 것이라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는 트럼프 당선인의 최측근으로 떠오른 머스크 CEO의 주장과 동일하다. 바라 CEO는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 산업, 제조업의 중요성을 키울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함께 일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며 "우리는 공통점이 많다"고 말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