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회 구조 파악하려고 티맵 봤다"…계엄 휘말린 내비앱 1위 기업

시계아이콘00분 4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707특임단장 국회 구조 몰라 "티맵 사용"
지도 서비스 플랫폼 장소 정보, 타사와 동일
업계 "1위 기업이라 발생한 이슈일 듯"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업체인 티맵이 비상계엄 후폭풍에 돌연 휘말렸다. 707특수임무단장이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 구조 파악을 위해 ‘티맵’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관심을 끈 것이다. 티맵은 국내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앱) 시장에서 74%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최대 업체다.


"국회 구조 파악하려고 티맵 봤다"…계엄 휘말린 내비앱 1위 기업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으로 국회의사당을 검색해본 결과. (왼쪽부터)티맵, 네이버지도, 카카오 맵 앱/사진=각 앱 캡처
AD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대령)은 9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계엄 당시 국회의사당 투입 지시를 받고 국회 구조를 몰라 "티맵을 켜 확인했다"고 밝혔다.


구조 파악을 위해 티맵을 활용했다는 건데, 네이버, 카카오 등 다른 내비 앱과 비교하면 큰 차이는 없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국토지리정보원을 통해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 등을 받아 사용한다"며 "지도의 장소 정보는 모두 유사하다"고 말했다.


실제 티맵,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앱을 구동해본 결과 지도상 정보 값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 오히려 네이버는 내비가 아닌 지도 서비스만 봤을 때 로드뷰가 제공돼 더 자세한 모습이다. 국토지리정보원 관계자는 "국회는 보안 사항이라 지도 정보가 보안 처리돼 나온다"며 "민간 기업에서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는 각 사에서 따로 만드는 것"이라고 전했다. 티맵과 카카오는 국회의사당 내부 로드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업계에선 국내 내비 앱 시장점유율 1위 기업으로선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지난 3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이용자 중 74%는 티맵을 사용하고 있으며 카카오맵과 네이버지도가 각각 12%, 7%를 차지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