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 무산 규탄 움직임 잇따라
'12·3 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7일 국회 표결에서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의 불참으로 자동 폐기되면서 거센 후폭풍이 불고있다.
탄핵안 폐기를 주도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한덕수 국무총리는 8일 '질서 있는 퇴진'을 주장하며 윤 대통령의 업무 배제를 추진한다는 입장이지만, 야당은 정부정당의 현직 대통령에 대한 직무배제가 법적 근거가 없다면서 탄핵 재추진에 나섰다. 또 전국 각지에선 윤 대통령의 탄핵안 표결에 불참한 국민의힘을 규탄하는 움직임이 잇따랐다.
사회정책·보건의료 분야 22개 학회는 이날 공동성명을 내고 "윤석열 정권은 계엄령을 통해 국민의 집회·결사의 자유를 박탈하고 공론장을 폐쇄하는 등 민주주의와 사회적 연대를 통째로 무너뜨리려고 했다"며 "국민의힘 의원들이 오직 당의 이익과 안위를 위해 탄핵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제2계엄령에 불안해하는 국민의 뜻을 정면으로 반대하는 것으로 윤석열과 함께 역사의 법정에 세워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회는 내란수괴 윤석열을 즉각 탄핵하고, 계엄령의 위헌성과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 공격의 불법성을 철저히 조사해 내란 책임자에 대한 체포와 처벌을 즉각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전공의 처단'을 명시한 계엄사령부 포고령에 분노한 전공의들은 이날 거리로 쏟아져나왔다. 지난 2월 의정 갈등이 시작된 이후 전공의들이 단독으로 집단행동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직 전공의 등 젊은 의사들은 이날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주최로 서울 종로구 마로니에 공원에서 열린 '의료계엄 규탄 집회'에 참석한 뒤 대학로 일대를 행진했다.
전의비는 시국 선언서에서 "국민의힘은 국회의원이라는 신분을 망각한 채 내란을 일으킨 윤석열을 탄핵하지 않고 비호했다"며 "국민의힘은 내란을 동조한 국회의원으로 역사에 각인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내란 수괴 윤석열이 벌여 놓은 의대증원, 의료개학 정책들을 원점으로 돌려야 한다"며 "의료개악에 끝까지 저항하겠다"고 강조했다.
광주에선 99개 단체로 구성된 '윤석열 정권 퇴진 광주비상행동'(이하 광주비상행동) 주최로 광주시민 총궐기대회가 열렸다.
광주비상행동은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질서 있는 조기 퇴진'은 어불성설"이라며 "국민의힘은 내란수괴 윤석열을 즉각 탄핵하라는 국민의 명령을 거부했다. 내란에 동조한 국민의힘은 해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전·서산 당진·천안 아산·청주 촛불행동과 민주당 대전시당 평당원협의회, 사회민주당 대전시당 관계자들은 이날 대전역 서광장에서 '윤석열 탄핵, 국민의힘 해체 촉구 대전·충청 유권자대회'고 열고 국민의힘 의원 대부분이 표결에 불참해 탄핵소추안 처리가 무산된 것을 규탄하고, 비상계엄 사태를 초래한 윤석열 대통령의 사퇴를 촉구했다. 국민의힘 역시 내란죄 공범이라고 규정하면서 국민의힘 해체를 요구하는 구호도 외쳤다.
전북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표결이 무산된 것에 대해 "내란에 동조한 국민의힘은 해체하라"며 비판 목소리를 냈다. 진보당 전북자치도당은 이날 성명을 통해 "전날 국민의힘이 국민들에게 총부리를 겨눴던 윤석열 탄핵을 기어이 무산시켰다"며 "국민의힘은 집권당은커녕 헌법에 규정된 정당의 자격이 없는 내란 정당임을 자인했다"고 비판했다.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