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윤상현 "尹탄핵 시사' 한동훈에 동의하는 중진 거의 없어…오늘 표결 못해"

시계아이콘01분 3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윤상현 "이재명에 정권 헌납할 수 없어"
"2차 계엄은 가짜뉴스…박근혜 때와 똑같은 상황"
與사무처 당직자 일부 "탄핵만은 막아달라" 성명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6일 한동훈 대표의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 정지' 발언에 대해 "동의하는 중진의원 거의 없다"며 오늘 중 탄핵소추안 표결 강행은 못 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추경호 원내대표 주재 중진의원 회의 직후 만난 기자들에게 "이번 비상계엄사태는 정당화될 수 없고, 돼서도 안 된다. 분명한 사과와 합당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의원은 "현재 충분히 조사와 수사가 안 된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우리가 야당 주장에 부화뇌동해선 안 된다"며 "이대로 내일 당장 대통령을 탄핵해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민주당에 정권을 헌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윤 대통령을 지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대한민국 체제, 또 미래 우리 아이들을 위해 윤 대통령 탄핵에 내일 동참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전날 의원총회에서 당론으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에 반대하겠다는 입장을 정했지만 이날 한 대표가 긴급최고위원회의를 소집하고 윤 대통령의 직무집행 정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낸 바 있다.


'원내대표실에 모인 중진 의원들은 반대 입장을 냈냐'라는 기자의 질문에 윤 의원은 "탄핵 반대라기보다는 '당론 채택된 것에 대해서 어떻게 (한 대표가) 혼자서 저런 식으로 하느냐'에 대한 중진들의 의견 개진이 있었다"고 답했다.


윤상현 "尹탄핵 시사' 한동훈에 동의하는 중진 거의 없어…오늘 표결 못해" 윤상현,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17일 경기 고양 소노 아레나에서 열린 제4차 전당대회, 서울 인천 경기 강원 합동연설회에서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AD

윤 의원은 이어 "'설사 한 대표 이야기가 맞다고 하더라도, 100% 맞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바로 탄핵으로 이어지는 것, 그건 아니다'라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과거 박근혜 정부가 탄핵당한 이후 민주당 정권이 들어서서 나라의 기강과 가치를 허물어뜨렸는데, 그런 시대를 다시 가야 하냐는 이야기가 나왔다는 게 윤 의원의 설명이다.


한 대표의 이날 '윤 대통령 직무집행 정지'를 언급하며 사실상 탄핵 찬성을 시사한 것에 대해 "(중진들은) '한 대표가 어떤 정보를 가졌는지 우리와 공유하고 그 문제에 대해서 어떤 돌파구 열어야 되는 게 여당 대표 자세 아니냐' '세상에 혼자 정보를 가지고 혼자 이야기하고, 당을 이리 혼란스럽게 하는 이유가 뭐냐'라는 질타가 거의 다였다"고 전했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2차 계엄령에 대해서는 "지금 검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등 여러 수사기관이 사실관계를 조사할 수 있다"며 "벌써 가짜뉴스가 횡행하고 있다. 세상에 무슨 이 상황에서 2차 계엄을 하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 똑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역설했다.


한편 국민의힘 사무처 당직자 일부도 성명을 내고 "탄핵만은 막아 달라"고 호소했다. 국민의힘 사무처당직자 11기 일동 명의로 게시된 성명은 '당은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적극 뒷받침하며 그 결과에 대하여 대통령과 함께 국민에게 책임을 진다'라는 당헌 제8조를 내세워 "당과 대통령은 공동운명체다. 비상계엄은 분명한 잘못"이라며 "잘못이 있다면 그 역시 국민 앞에 함께 책임지는 것이 책임 정치"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탄핵의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있다. 탄핵을 경험해본 당직자로서 어떠한 이유로도 탄핵을 정당화할 수 없다"며 "또다시 우리 손으로 만든 대통령을 끌어내린다면, 다시 정권을 맡겨달라 어찌 국민에게 호소할 수 있겠냐"라고 덧붙였다.



당직자들은 탄핵은 보수진영과 당의 몰락만 가져올 뿐이라며 "정권 창출의 기쁨도 함께했다면 정권 위기의 극복도 함께해야 한다. 정권 운영의 책임은 당과 대통령이 함께 지는 것이 도리다. 도리를 저버리면 안 된다"고 호소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