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청와대 저주 되풀이" "김여사 위한 계엄"…중국매체 韓탄핵정국 보도

시계아이콘01분 1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중국 주요 매체들이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를 실시간으로 보도한 데 이어 탄핵 정국에 돌입한 한국 정치 상황을 시시각각 전하고 있다.

중국 최대 검색 포털 바이두 온라인 백과에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부터 탄핵 추진까지 과정을 모은 자료가 '12.3 한국 정쟁'이라는 제목으로 생성된 한편 '12.4 윤석열 탄핵안' 자료도 등장했다.

바이두에서 한때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부터 국무회의 계엄 해제안 의결까지 걸린 시간을 나타내는 '한국의 6시간 40분'이 인기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청와대 저주 어떻게 풀 것인가가 과제"

중국 주요 매체들이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를 실시간으로 보도한 데 이어 탄핵 정국에 돌입한 한국 정치 상황을 시시각각 전하고 있다.


5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7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나서고 경찰은 윤 대통령 등에 대한 내란죄 혐의 고발 사건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중국중앙TV(CCTV)와 환구시보 등도 탄핵소추안 표결 예정 소식을 보도했다.


"청와대 저주 되풀이" "김여사 위한 계엄"…중국매체 韓탄핵정국 보도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새벽 4시30분 긴급 담화를 통해 어젯밤 선포된 비상계엄을 국회의 요구를 수용해 해제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윤대통령 긴급 담화가 서울역 대합실 TV에 나오고 있다. 조용준 기자
AD

국내 정치 상황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도 크다. 중국 최대 검색 포털 바이두 온라인 백과에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부터 탄핵 추진까지 과정을 모은 자료가 '12.3 한국 정쟁'이라는 제목으로 생성된 한편 '12.4 윤석열 탄핵안' 자료도 등장했다. 바이두에서 한때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부터 국무회의 계엄 해제안 의결까지 걸린 시간을 나타내는 '한국의 6시간 40분'이 인기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중국신문망은 '한국 정치 상황 급변, 대통령은 왜 청와대 저주를 피하지 못하는가'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황르한 중국 화교대학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영상에서 "한국 정권이 번번이 이른바 '청와대 저주'에 빠져들었기 때문에 이런 상황은 예상됐던 것인지도 모른다"며 "이 저주를 어떻게 풀 것인가가 앞으로 한국 사회가 직면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집무했던 역대 대통령들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청와대 저주 되풀이" "김여사 위한 계엄"…중국매체 韓탄핵정국 보도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새벽 계엄군이 국회 본청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김현민 기자

갑작스럽게 비상계엄이 선포된 데 대해 중국 내에서 다양한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 류훙 신화통신 산하 잡지 '환구' 편집장이 운영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 뉴탄친은 "한국이 하루아침에 변했다. 10가지 질문"이라는 글을 전날 올렸다. 뉴탄친은 "윤 대통령이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내세웠지만, (계엄 선포의) 계기는 김건희 여사의 뇌물 수수 사건"이라며 "사랑하는 여자를 위해 전 세계의 적임을 선언한 것"이라며 "이런 소재가 소설이나 영화에서만 나온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적었다.


뤼차오 랴오닝사회과학원 연구원도 글로벌타임스에 "비상계엄령은 잘 계획된 결정이 아니라 '스트레스 반응'에 가깝다"라며 "아내에 대한 조사 같은 가족 문제로 큰 영향을 받은 것 같다"라고 말했다.



중국 매체들의 이같은 보도 태도를 두고 중국 정부의 입김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민주주의 체제의 약점을 부각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실제로 관영 환구시보는 이날 칼럼을 통해 "한국 정치권에서는 오랫동안 당파 대립이 심각했고 정쟁이 극심했다"면서 "이런 정치적 분위기 속에서 스캔들과 고발은 한국 정치의 일반적 현상이 됐다"라고 전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