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플러스에너지에 75억4000만달러 대출지원
미국 정부가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배터리 합작법인인 '스타플러스에너지'에 75억4000만달러(10조50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지원한다.
미 에너지부는 2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행정부의 '인베스트 인 아메리카' 정책의 일환으로 이 같은 조건부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출은 인디애나주에 위치한 스타플러스에너지의 리튬이온 배터리 및 모듈 공장을 건설하기 위한 것으로, 공장이 완전히 가동되면 연간 67만대의 차량에 공급할 수 있는 67GWh(기가와트시)의 배터리가 생산될 예정이다.
에너지부는 "새 시설에서 생산되는 배터리는 북미 지역 전기자동차(EV)에 사용되도록 스텔란티스에 판매될 예정"이라면서 "이는 급속도로 확장하는 전기차 산업에서 미국이 자국 내 수요를 맞추고 글로벌 리더의 지위를 지킬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사업은 북미 지역의 전기차 배터리 제조 능력을 제고해 중국과 같은 적대적인 국가에 대한 미국의 의존도 등을 낮추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에너지부는 지난달 말 자국 전기차 업체인 리비안에 66억달러(약 9조2000억원) 상당의 대출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내년 1월 출범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전기차 관련 연방 정부의 지원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이에 바이든 정부가 정권 교체 전에 대출 지원 절차를 완료할 수 있을지, 이후 들어선 새 정부가 이를 그대로 집행할지 여부 등은 불투명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차기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 공동 수장을 맡게 된 비벡 라마스와미는 최근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리비안에 대한 대출 지원을 비판했다. 그는 "(지원을) 정당화하는 한 가지 이유는 7500개의 일자리인데 그것은 일자리 한 개당 88만달러의 비용을 의미한다"면서 "이것은 일론 머스크와 테슬라에 대한 정치적인 경고의 냄새가 더 난다"고 지적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