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만 9곳 달해…찬반 주민 통합 개최 방식으로 변경
경기도 평택시가 비상대책위원회만 9곳에 달하는 등 사업 추진을 둘러싸고 주민 갈등이 계속돼 온 '평택지제역세권 공공주택지구'의 민관협의체 운영 방식을 변경했다.
시는 지난 4일 평택지제역세권 개발을 위해 개최한 민관협의체 4차 회의를 찬반 주민 대표단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통합해 진행했다고 5일 밝혔다. 지금까지 민관협의체 회의는 세 차례 진행되는 과정에서 찬성과 반대로 나뉜 주민 대표단과 각각 따로 회의가 열렸었다.
시 관계자는 "회의를 통합 개최 방식으로 변경한 것은 양측 입장을 한자리에서 조율하기 위한 것"이라며 "사업 추진에 대한 여러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현실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협의체를 구성한 만큼 합치를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지제역세권지구 개발을 둘러싸고 이처럼 주민 간 의견이 엇갈린 것은 '환지'와 '수용' 방식을 둘러싼 이해관계가 얽히면서다.
평택지제역세권지구 사업은 앞서 정부는 지난해 6월 주택공급 확대 방안의 일환으로 발표한 것으로, 이 일대 지제·신대·세교·모곡동과 고덕면 일대 453만㎡에 3만3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 조성 사업이 골자다. 정부는 이 일대를 올해 말까지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한 후 2033년까지 사업을 마무리 짓겠다는 복안이다.
시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지난 3월 시, 국토교통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민대표단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지제역 주변에서 환지 방식으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해 오던 주민들이 반발하면서 개발 사업을 놓고 찬성과 반대 의견이 첨예하게 맞서 왔다. 이 과정에서 9개에 달하는 비대위가 생겨나면서 사업 역시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민관협의체 통합 개최에도 원만한 주민 합의안을 도출하기는 만만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강제 수용 방식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은데다 수용에 찬성하는 주민도 보상 가격을 놓고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어서다.
정두환 기자 dhjung6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