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8월 수정 경제전망
처음으로 분기별 경제성장률 전망치 공개
한국은행이 올해 3분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0.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분기 -0.2%에서 3분기에는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예측이다.
한은은 22일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3분기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전분기 대비 0.5%, 4분기는 0.6%로 발표했다. 한은이 분기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 경제가 지난 2분기 역성장에서 벗어나 3분기에는 다시 성장세를 되찾을 것으로 봤다.
한은은 올해 전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4%로 종전 2.5%에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하향한 이유에 대해 한은은 지난 1분기 우리 경제의 깜짝 성장에 일시적 요인이 예상보다 컸던 점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반적인 성장흐름은 좋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3분기 이후 국내경제가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내수도 나아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했다.
부문별로 보면 수출은 IT경기 호조, 방한 관광객 증대 등에 힘입어 지난 전망보다 높은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관측했다. 일시적 요인의 영향으로 상반기중 크게 오르내린 내수의 경우 기업 투자여력 증대, 디스인플레이션 진전 등에 힘입어 개선흐름을 재개하겠지만 모멘텀 상승폭은 당초 예상에 다소 못 미칠 전망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종전 2.6%에서 2.5%로 내렸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월중 일시 반등했지만 근원물가가 하향 안정된 가운데 8월부터 지난해 유가와 농산물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도 크게 작용할 것으로 보여, 추가적인 공급충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다시 둔화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예상되는 경상수지는 730억달러로 당초 전망치인 600억달러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개선세를 지속하고 수입은 내수회복 지연 등의 영향으로 예상보다 더딘 회복세를 보이면서 상품수지 흑자폭이 확대될 전망이다. 서비스수지는 외국인 관광객 유입 호조 등으로 적자폭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취업자수 증가규모는 올해 20만명, 내년 16만명으로 예상보다 둔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제조업은 수출 개선에 힘입어 증가세를 이어가겠으나, 서비스업이 도소매 등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건설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취업자수 감소폭이 예상보다 확대될 것으로 봤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