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후보 모두 인플레 재점화 정책 추진"
Fed 금리 인하 앞두고 우려 목소리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누가 승리하든 물가가 다시 뛸 수 있다고 2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가 전망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자녀 세액 공제 확대, 신규 주택 구매자 계약금 제공 등 경제 정책을 발표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사회보장 수당에 대한 세금을 폐지하고, 불법 이민자를 추방해 일자리를 늘리고, 수입품에 대해 보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다음 달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한다. 2020년 3월 이후 처음으로 금리를 내리는 것이다. 그러나 양당 후보들이 다시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는 공약을 내세우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마크 골드바인 책임연방예산위원회(CRFB) 수석정책책임자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더욱 악화시킬 위험이 있는 정책을 인식해야 한다"며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제안한 정책 중에는 인플레이션을 재점화할 위험이 있는 정책이 많다"고 밝혔다.
그러나 두 후보자 모두 자신의 공약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것이라는 지적을 부인한다. 해리스 부통령은 현재 21%인 법인세율을 28%까지 인상하고, 부유층에 대한 세금을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공약을 시행할만한 세수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관세를 올리더라도 미국 소비자가 아닌 해외 기업이 내게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다수 연구에서 관세 인상분은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화당은 미국 내 석유와 가스 등 화석 에너지 생산 확대, 정부 규제 삭감, 연방 지출 억제 등을 통해 물가를 잡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해리스 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안이 인플레이션을 더욱 촉진한다고 지적하고,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해리스 부통령 당선 시 인플레이션이 심화할 것이라고 꼬집는다.
양측 공약 모두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지만, 시장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이 인플레이션 유발 위험성이 더 높다고 본다. 티에리 위즈먼 맥쿼리그룹 글로벌 외환 및 금리 전략가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은 연간 인플레이션율을 1%포인트 상승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CRFB에 따르면 해리스 부통령의 중산층 세금 감면과 신규 주택 구매자 지원 공약에는 10년간 1조7000억달러가 필요하다.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팁에 면세 조치를 하게 될 경우엔 추가로 1000억~2000억달러가 든다. 그러나 법인세 인상으로 상쇄하더라도 8000억~9000억달러가 추가로 필요하다.
이처럼 인플레이션을 촉진할 수 있는 대선 후보들의 공약은 Fed 통화 정책과 충돌한다. 시장에서는 Fed가 오는 9월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전망한다. 아직 인플레이션이 Fed의 목표인 2%에 이르지는 못했으나,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서다. 그러나 양당 대선 주자들이 재정 지출을 늘리는 공약을 내세우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공약 시행으로 물가가 다시 뛰면 Fed가 금리를 내릴 수 없기 때문이다.
토르스텐 슬록 아폴로 글로벌매니지먼트 수석경제학자는 "인플레이션이 2%로 돌아오지 않았는데 재정 정책이 가속 페달을 밟는다면 이는 Fed의 업무를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