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생각으로 게임해요”…머스크 두 번째 뇌이식 실험, 개선됐다

시계아이콘00분 5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첫 번째 환자에게서 보고된 임상적 결함 개선돼

“생각으로 게임해요”…머스크 두 번째 뇌이식 실험, 개선됐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세운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사람을 대상으로 두 번째 컴퓨터 칩 이식에 성공한 가운데 첫 번째 환자에게서 보였던 임상적 결함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뉴럴링크는 21일(현지시간) 두 번째 컴퓨터 칩 이식 환자인 ‘알렉스’에게서 첫 번째 이식 환자인 놀런드 아르보가 보였던 이상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아르보는 이식 수술 후 몇 주를 거치면서 뇌 칩에 연결된 실 일부가 수축해 생각으로 컴퓨터 커서 등을 제어하는 속도, 정확도가 현저히 줄어들었다고 뉴럴링크가 지난 5월 보고했다. 알렉스에게서는 칩에서 뇌와 연결되는 부위의 실이 수축되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뉴럴링크는 뇌 칩의 실 일부가 수축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두 번째 이식 수술에서는 뇌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했고, 칩과 뇌 표면 사이의 간격을 줄였다고 부연했다. 또 알렉스의 경우 뇌 운동피질에 실을 기존 3~4㎜가 아닌 7㎜로 더 깊숙이 삽입했다고 뉴럴링크는 덧붙였다.


뉴럴링크는 블로그를 통해 알렉스가 생각만으로 일인칭 슈팅 비디오 게임을 하거나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알렉스도 아르보와 마찬가지로 사지마비 환자다.

“생각으로 게임해요”…머스크 두 번째 뇌이식 실험, 개선됐다 알렉스가 생각만으로 슈팅 게임을 즐기고 있는 모습이라며 뉴럴링크가 공개한 영상 [이미지출처=뉴럴링크 블로그]

뉴럴링크는 신체 손상을 입어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사람이 각종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를 뇌에 이식하는 기술을 개발해왔다. 미세한 실 모양의 전극을 통해 신경세포와 신호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뉴럴링크 칩은 1024개의 전극을 사용한다. 알렉스는 약 40%에 해당하는 400개가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식된 전극이 모두 신경 신호를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많이 읽을수록 뉴럴링크 기기가 디코딩(복호화)할 수 있는 정보가 많아져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더 많아진다”고 전했다.



뉴럴링크는 올해 안에 뇌 칩을 이식할 8명을 추가로 모집한다는 목표다. 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미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거쳐야 한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