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경수 복권' 둘러싼 여야 셈법 복잡…용산 "이미 결정"(종합)

시계아이콘02분 1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친한계 "민심 전달…금투세 분위기 좋았는데 아쉬워"
친윤계 "韓, 대선보다 당내 조율 힘쓸 때"

'김경수 복권' 둘러싼 여야 셈법 복잡…용산 "이미 결정"(종합)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지난 6월14일 인천공항에서 지인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영국에서 유학 중인 김 전 지사는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을 위해 잠시 귀국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김경수 전 경남지사 복권을 둘러싼 여·야 셈법이 복잡해지면서 진실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김 전 지사 복권을 반대했고, 대통령실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고 일축하면서 윤-한 갈등 양상으로 번졌다. 대통령실과 여당은 입단속에 나서면서 사태 진화에 나서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친한계 관계자는 12일 아시아경제에 김 전 지사 복권을 두고 윤-한 갈등 논란이 빚어지는 데 대해 "윤·한 갈등은 지나친 확대 해석"이라며 "당에서 민심을 전달한 차원"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로 분위기가 좋았는데, 김 전 지사의 복권 문제로 당정 분위기가 악화돼서 유감"이라면서 "한동훈 대표도 (관련 보도 등을) 원치 않았던 일"이라고 뒷수습에 나섰다.


친한계 "김 전 지사 복권 관련, 추가 입장 표명 없을 듯"

복권이 결정되면 한 대표가 입장을 밝힐 것인지 묻는 질의에는 "사면·복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며 "대통령의 권한으로 그 결정을 따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대표가 추가적인 입장 표명은 자제한 채 오는 13일 김 전 지사 복권을 다루는 국무회의 결과를 지켜볼 것이란 전망이다.


이 관계자는 "한 대표는 민심을 전달한 것이고, 복권은 대통령의 권한이므로 더 할 수 있는 게 없지 않나"라면서 "민심을 전달하는 게 당의 역할이니 그런 당의 기능을 다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김경수 복권' 둘러싼 여야 셈법 복잡…용산 "이미 결정"(종합)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지난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대통령실은 김 전 지사 복권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를 주시하면서 입단속에 나서고 있다. 자칫 윤·한 갈등이 재점화될 경우 전당대회 이후 가까스로 당정 화합 분위기 조성에 힘써왔던 노력이 한순간에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대통령실 내부와 친윤계에서는 복권 반대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한 한 대표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친윤계 인사는 "지금 한 대표는 향후 대선을 염두에 둔 행보보다는 당 내부 화합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시기"라면서 "당 대표로서 여권 내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조율해야 하는데 이에 앞서 윤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워 자신을 드러내는 모습은 보기에 좋지 않다"고 불쾌감을 나타냈다.


대통령실은 김 전 지사 복권에 대해 "2022년 12월 김 전 지사의 잔형을 사면하기로 결정했다"며 "올해 4월 총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차원에서 복권을 분리하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지사 복권은 이미 잔형 사면 당시 잠정 결정됐던 것이며, 이 때문에 이번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에서도 김 전 지사 복권에는 이견이 없었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이재명 "복권 요청" 발언 vs 용산 "루트 불분명"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이자 '친문(친문재인)'인 김 전 지사의 존재감을 우려한 야권 내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김 전 지사는 이번 복권으로 피선거권을 회복해 2026년 지방선거, 2027년 대선 출마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야권 지형은 물론 향후 대선 구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각이 팽배하다.


윤희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지난 9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김 전 지사의 차기 대선 출마를 전망하면서 "친문·친노(친노무현) 계열이 김 전 지사를 구심점으로 해서 뭉칠 것"이라며 "조국 대표가 사법 처리될 경우 그 표는 아마 오롯이 김 전 지사 쪽으로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경수 복권' 둘러싼 여야 셈법 복잡…용산 "이미 결정"(종합) 지난 4일 오전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자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후보가 인사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김 전 지사 복권을 둘러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측 입장에 대해서도 진실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10일 경기 부천체육관에서 열린 8·18 전당대회 경기 경선 직후 기자들과 만나 김 전 지사의 복권과 관련 "(윤 대통령에게) 직간접적으로 여러 가지 루트를 통해 제가 복권을 요청한 바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여권 고위 관계자는 "이 전 대표 측으로부터 요청받은 적이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 입장차를 드러냈다.


여권 관계자는 이번 사면심사위원회가 개최될 때쯤 민주당 측에서 국민의힘에 복권 관련 얘기를 한 것은 맞는 것 같다며 "그것이 (결론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고 했다. 이 전 대표 측이 어떤 루트로 요청했는지 불분명하고, 요청했더라도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김 전 지사는 문재인 정부 시절 2018년 경남지사에 당선되며 차기 대선 주자 중 한 명으로 떠올랐지만,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징역 2년 형이 확정됐고, 복역 중이던 2022년 12월 특별 사면으로 석방됐다. 여권 관계자는 "김 전 지사의 복귀가 정치판에 변화 지형을 만들 수 있는 사안인 만큼 복권을 둘러싼 여야 셈법이 분분하다"면서 "잠재적 경쟁자로 의식한 대권 후보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최영찬 기자 elach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